어제 평양의 조선국립교향악단이 서울에 와서 가진 연주회는 상징의미가 적지 않은 행사였다.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로서 이산가족들의 상봉에 이어 문화교류의 시작을 알리는 첫 연주회였기 때문이다. 앞으로 남북 문화교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데 성공적인 교류를 위해선 철저한 사전준비와 완벽한 사후평가가 요구된다.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남북간 문화의 이질성은 매우 심각하다. 크게는 민족역사의 해석에서 부터 시작해서 국어문법의 내용과 예술창작의 목표에 이르기까지 다른 점이 너무 많다. 따라서 문화교류의 시작에 즈음해서 우리는 다음 몇가지 사항을 당국에 주문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교류의 전반을 기획하고 추진할 전문가가 필요하고, 이들이 전문성을 갖고 교류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정부 차원에서 교류하든, 민간 차원에서 나서든 우리측은 다양한 채널인데 비해 북측은 통합된 계획을 가진 단일 통로를 통해 진행할 것이다.
우리의 경우, 자칫하면 정부 각 기관과 언론사가 각기 경쟁적으로 나서고, 또 기업이나 공연기획회사가 독자적으로 접근해서 혼란양상을 빚을 수가 있다. 문화관광부가 남북 문화교류 전문가의 보유 필요성 못지않게 혼란양상의 정리에도 신경을 써야 할 줄 안다.
둘째는 돈과 관련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방식으로 교류를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북 문화접촉에 돈문제가 개재되어 깔끔하지 못했다고 보도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이번 교향악단의 연주에도 공연기획사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북측은 자본주의 방식에 대한 이해없이 교류에 나서고, 남측은 일방적 비용부담이나 반대로 상업주의 위주로 접근한다면 교류과정에서 마찰이 적지 않을 것이다. 합리적이고 철저한 계약이 그런 마찰을 줄이는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인데, 모든 교류과정에 금전적인 투명성이 필요하다.
셋째는 쉬운 방법부터 찾아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툼의 소지가 있는 역사해석과 사상을 가급적 배제하고 남북의 문화재를 교환전시하는 사업 등이 민족의 일체감을 찾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예컨대 금강산에 파괴된 채 오랜 세월 흔적으로 남아있는 장안사나 유점사 등 고찰을 남북학자들이 같이 복원하는 사업도 협력 방식의 전형을 보여주는 사업이 될 수 있다.
남북화해와 평화체제의 정착, 그리고 완전통일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체제에서 기인하는 오해와 마찰은 불가피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 해소방법으로는 문화교류 과정에서 쌓인 소중한 경험이 해결책이 되리라 생각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