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피’로 시작한 올 여름 한국공포영화. ‘가위’ ‘해변으로 가다’를 거쳐 26일 개봉하는 ‘찍히면 죽는다’로 끝을 맺는다.‘찍히면 죽는다’(감독 김기훈) 역시 독창적이지 않다. 친구를 놀래 주려다 실수로 죽이고, 그것을 숨기면서 겪게 되는 끔찍한 죽음이란 설정, 범인의 옷차림과 갈고리 대신 칼로 살인을 하는 방식. 모두 할리우드 공포물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를 닮았다.
고교에서 ‘왕따’당하던 성욱(이영호)이 친구들과 놀러간 별장에서 괴한의 칼에 난자당한다.
몰래 가짜 스너프 필름(살인장면을 담은 영화)을 찍어 돈을 벌려고 하던 친구들의 실수였다. 그리고 1년 뒤. 그들은 하나하나 살해된다.
도입부는 꽤나 매력적이다. 비록 드라마 ‘학교’같은 냄새가 나지만 다양한 인물을 등장시키고, 그들의 특성과 관계를 깔끔하고 재치있게 그려내 앞으로 벌어질 사건의 성격과 그들의 역할을 점치게 했다.
모두 신인배우를 기용한 것은 희생자를 예단하지 말라는 뜻이고, 다양한 공간 (도축장과 학교와 별장)의 설정은 다양한 공포심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생각 뿐이었다. 아쉽게도 ‘찍히면 죽는다’는 표피적인 모방의 한계를 드러낸다.
‘스크림’이 말하는 ‘혼자 떨어지지 마라’ ‘샤워하지 말라’를 적용해 살인을 반복하고, 살아남은 자들은 끝없이 소리지르며 이리저리 쫓긴다.
스토리는 오직 인물들을 죽이는 데 몰두한 나머지 다른 객관성을 잃어버리고, 배우들은 그 현장에서 감정없는 비명만 지른다. 범인 앞에서 여주인공 희정(박은혜)가 투정 부리듯 “미안해요, 고의가 아니었어요.
일이 이렇게 커질 줄 몰랐어요” “그렇다고 애들을 다 죽여요”라고 말하고, 마지막 반전을 위해 과장된 캐릭터의 교사까지 끌어들이면서 ‘찍히면 죽는다’는 공포영화로서 최소한의 설득력도 포기했다.
올 여름 유행처럼 나타난 공포영화가 모두 이렇다. 국내 젊은 마니아들이 열광한, 스크린에 피가 흥건한 할리우드 슬래셔(난도질) 무비의 모방. 그러나 그 모방조차 허술했다.
탄탄한 구성이나 심리묘사 보다는 잔혹한 장면만으로 시각적 공포를 유도하려는 어설픈 모조품에 가까웠다.
비디오 화면과 인터넷을 이용하고, 교육현실과 인관관계, 성적 자극을 적당히 비판하는 방식까지 그대로였다.
그것으로 할리우드의 공포영화가 우리 것으로 바뀌지는 않는다. ‘가위’와 ‘해변으로 가다’를 제외하면 아마추어 수준인 배우들의 연기도 문제이다.
그것을 음악과 현란한 카메라 움직임, 집단적이고 연속적인 살인의 반복만으로 감출 수는 없다.
장르의 가능성 발견은 고사하고, 납량물로서의 오락기능조차 제대로 하지못한 한국공포영화가 얻은 것이 있다면 ‘모방하지 말라. 공포는 보이는 것만이 아니다’라는 사실 하나 뿐이다.
이대현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