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을 앞세운 정부의 고강도 압박작전이 주효, 현대가 사실상 ‘버티기’를 포기했다. 아직은 여러 대안사이를 오가는 국면이지만, 현대 핵심관계자들은 정부와 채권단 관계자들의 의중을 다각도로 살피며 4일 내내 분주하게 움직였다.현대의 한 관계자는 “쉽게 풀릴 문제는 아니지만 노력하고있다”며 “주말이나 다음 주초면 현대문제가 잠잠해 질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특히 4일 오전에는 현대PR사업본부 김상욱(金相旭)이사가 이례적으로 기자실에 들러“하루나 이틀이면 확실한 개선 계획이 나오니까 조금만 참아 달라”며 기자들의 질문에 성의있게 대답하는 등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 현대자동차 등 계열분리
정부와 채권단의 일관된 입장은 “정주영(鄭周永)전명예회장의 지분을 3% 이내로 축소하라”는 것. 3%를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의결권 포기각서와 함께 채권단에 담보로 제출하는 안에도 시큰둥하다. 매각이나 매각에 준하는 방안을 내놓으라는 얘기다.
그러나 아직도 전명예회장의 지분 매각을 꺼리는 현대 관계자들은 “지금까지 언론에서 언급된 방안 중의 하나가 되거나, 새로운 방안을 만들어 제출할 수도 있다”고 말해 묘한 여운을 남겼다.
일각에서는 순차 매각방식이 채택되거나 아예 획기적으로 지분을 털어버릴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반면 현대중공업 연내 분리는 사실상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1조원 규모의 현대 계열사에 대한 지급보증이 대부분 현대건설의 해외공사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를 풀려면 적어도 1~2년 이상 소요된다는 이유에서.
■ 고강도 자구계획
채권단은 현대의 자구계획에 대해 “불투명한 부분이 많고 현실성이 없다”며 보완제출하라는 입장이다.
또 현대건설 보유 유가증권을 대폭 매각하고 사재출연 형식으로 정몽헌(鄭夢憲)현대아산이사회 회장의 주식도 매각해 유동성 극복에 일조하라는 주문.
현대측은 일단 현대건설이 보유한 고려산업개발, 현대강관, 현대정유, 현대석유화학, 현대상선 주식 등에 대해서 매각 혹은 교환사채(EB)발행 형식으로 조기 처분하겠다고 밝혔다. 부동산처분 역시 최대 조기 집행할 계획.
그러나 정몽헌회장 보유주식에 대해서는“사실상 현대를 떠나라는 요구나 마찬가지로 너무 가혹하다”며 난색을 표하고있다.
기업지배구조개선 정부와 채권단은 ‘3부자 퇴진’을 명시하는 대신 정 전명예회장이 5월 31일 경영일선을 떠나며 ‘약속한’사항을 지키라고 종용하고있다. 또 실패한 경영자들 역시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라는 것.
현대측은 이미 정 전명예회장과 정몽헌회장은 경영일선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정몽구(鄭夢九)현대차회장의 결단만 남았다는 입장이다.
‘실패한 ’경영자에 대해서는 계열사 별로 이사회를 열어 각각 결정할 문제로 구조조정본부가 개입할 사항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조재우기자
josus6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