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로 계도기간이 끝남에 따라 본격적인 의약분업 시행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8월1일부터는 병·의원들은 정해진 양식에 따른 원외처방전만을 발행해야 한다. 환자들은 이 처방전을 들고 인근 약국이나 동네약국에서 약을 받게 된다. 단 입원 및 응급환자, 정신질환자, 결핵환자 등은 예외대상으로 지정돼 지금처럼 병원에서 약을 지을 수 있다.그러나 의약분업이 정착하기까지는 앞으로도 숱한 난관이 예상된다. 정부조차 약국의 처방의약품 비치가 100% 완료되는 9월초가 돼야 환자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계도기간중 드러난 문제점들
보건소 등 일부 국·공립병원을 제외한 상당수 의료기관이 계도기간중에 원내처방전 발행에 주력했다. 동네의원의 경우 95% 이상이 원내처방전을 냈다. 그러나 22일부터 전면 원외처방전 발행을 시작한 서울대병원을 비롯, 신촌세브란스병원 서울중앙병원 등 대형병원의 사례를 볼 때 해결해야 할 숙제가 고스란히 노출됐다.
최대 걸림돌은 약국의 전문의약품 부족이다. 적지않은 숫자의 환자들이 약국에 약이 없어 다시 돌아가 원내에서 약을 지어야 했다. 서울대병원에서 원외처방전을 받은 당뇨 및 신장병 환자 최모(45·충남 논산시)씨는 “7가지 전문의약품이 적힌 처방전을 받고 약국에 갔더니 노바스크 등 4가지가 없었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동네의원 및 동네약국이다. 대형병원은 원외처방전 발행 체제가 갖춰졌고, ‘문전(門前)약국’과의 연계체계도 어느정도 구축된 상태다. 그러나 동네의원은 허둥댈게 분명하다. 지역의약분업협력위원회를 가동해 처방의약품목록을 약사들에게 알려줘야 하지만 위원회를 제대로 연 지역이 전국에 거의 없는 상태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 K내과 원장은 “인근 약국들에 처방의약품이 모두 갖춰져 있을지 걱정”이라며 “그렇다고 의협의 입장이 있는 데 협력위에 나가 어떤 약을 준비해달라고 요청할 수도 없다”고 털어놓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3일 현재 국내 1만3,198개의 의약분업 대상 약국 중 원외처방전을 대부분 수용할 수 있는 상용의약품목록을 모두 구비한 ‘준비된 약국’은 전체의 30.3%인 4,001개소에 불과하다. 송재성(宋在聖)복지부 보건정책국장은 “분업협력위가 가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국은 다빈도 처방약 중심으로 다품종 소량위주로 준비하고있다”며 “이달말까지는 전체 약국의 80%이상이 상용의약품을 완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의약분업, 이렇게 대처해야
불편을 최소화하려면 환자들의 병원 및 약국이용 패턴을 바꾸는게 급선무다. 혼란한 시행초기에는 결국 국민 스스로 처방약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
먼저 병원에서 처방약이 희귀약인지 저·다빈도처방약인지를 확인하는게 좋다. 희귀약은 분업 예외대상이므로 병원에 직접 투약해줄 것을 요구하면 되고, 저빈도처방약은 문전약국, 다빈도처방약은 동네약국을 이용하는게 낫다.
또 감기 등 간단한 질환은 대형병원보다는 집에서 가까운 동네의원을 이용하는게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고혈압, 당뇨병, 신경통약 등 장기투약자 및 만성질환자는 자주 다니는 약국에 미리 약품명을 알려 낭패를 보지 않도록 하는 것도 지혜다.
약국들은 서로 의약품 소분포방, 처방약 교환 등 상부상조하는 방식으로 약품 공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처방약 구비를 마친 약국들은 환자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문을 부착하는 게 좋다.
신종원(申鍾元)서울YMCA시민중계실장은 “동네약국의 전화와 팩스번호를 미리 알아 약품구비여부를 확인하거나, 병원에서 처방전을 팩스로 미리 송부하면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진각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