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비전향 장기수의 9월초 송환에 합의함에 따라 북한에 실재하는 국군 포로와 납북어부 등 납북인사의 귀환문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장 상호주의 차원에서 비전향 장기수를 국군포로 귀환 등과 연계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정부는 국군 포로와 납북인사 등을 이산가족의 범주에 넣어 조용히 해결책을 찾는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 북측이 비전향 장기수의 8월초 송환을 요구하자, 정부는 국군포로를 2차 가족 상봉단에 포함시켜 이들의 가족 만남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맞대응했다. 공식적으로 “국군포로는 없다”고 공언해 온 북측은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정부는 북측을 자극하는 국군포로 개념을 고집하지 않고, 흩어진 가족의 상봉과 재결합의 통로가 될 면회소 설치 문제에 총력을 기울였다. 2차 상봉단부터는 8·15 이산가족 교환방문 때와는 달리 판문점 또는 금강산에 마련될 면회소에서 납북인사 등의 지속적 만남이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면회소 설치 시기다. 비전향 장기수 송환보다 먼저 이뤄져야 정부로서는 부담이 없다.
북측이 장기수만 챙기고 면회소 설치 문제에 소극적일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 정부가 합의서에 면회소 설치시기를 8월로 못박자고 주장하는 이유다. 북측이 정부안을 수용하면, 이르면 9월 국군포로와 납북인사 등이 면회소에서 혈육을 만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정부관계자는 “국군 포로문제는 ‘국군포로’라는 간판을 떼고 실사구시적으로 접근해야 이들을 조속히 귀환시킬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말했다.
박진용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