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적만족" 50%… 고령일수록 높아■정상회담 만족도
5개항의 6.15공동선언을 이끌어 낸 남북 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모두 95.7%로 ‘만족도’가 절대적이다.
이중 ‘대단히 만족한다’는 응답이 50.4%로 이미 절반을 넘었고 ‘대체로 만족한다’는 응답도 45.3%에 달했다. 이에비해 부정적인 응답(3.9%)은 ‘별로 만족하지 않는다’가 3.3%,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는 0.6%에 불과했다.
특징적인 것은 긍정적 응답중에서도 ‘대단히 만족한다’는 전적인 만족감을 나타낸 응답율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20대의 경우, ‘대단히 만족한다’는 응답이 37.0% 였으나 30대(45.0%), 40대(51.7%), 50대(59.9%)를 거쳐 60대 이상은 77.0%가 절대적 만족도를 표시했다.
이는 북한에 이산가족이 있을 확률이 높고 또 분단의 아픔을 더 오래 경험했을 수록, 성과를 획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긍정적 응답자를 직업·학력별로 살펴보면 학생의 경우, ‘대단히 만족한다’가 28.6%, ‘대체로 만족한다’가 66.8%로 나타나 지식층일수록 만족속에서도 상대적 유보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단히 만족한다’는 응답을 학력별로 보면 중졸이하(67.5%), 고졸(47.1%), 대재이상(42.4%)순.
지역별로 보면 전체적 만족도는 93.2%-100.0%로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수도권,충청,호남지역에서 ‘대단히 만족한다’는 응답이 ‘대체로 만족한다’는 응답을 앞질렀으나 강원, 영남지역에선 반대현상이 나타났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통일방안 긍정·유보 47%씩 '팽팽'
■통일방안 공통성 인정
6.15 공동선언 제2항은 남한의 ‘연합제’통일방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키로 합의했다.
여기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엔 ‘함께 통일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47.5%로 가장 많았다.
특이한 것은 ‘남북의 통일방안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답변할 수 없다’는 유보적 응답이 47.0%로 두번째로 높았다는 점이다. 오히려 ‘북한의 통일방안에 동의할 수 없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은 5.4%에 불과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합리적 방안 모색 보다는 심정적 통일주장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앞으로 남북간에 통일논의가 활성화 할수록 긍정적 응답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다.
긍정적 응답은 20대(53.1%), 30대(48.4%), 40대(46.3%), 50대(43.5%), 60세이상(40.1%)으로 연령층이 낮을 수록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35.8%), 고졸(48.0%), 대재이상(54.4%)으로 학력이 높을 수록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특이한 것은 부정적 평가의 경우, 인천·경기(8.9%) 강원(6.4%) 서울(5.8%)지역이 평균(5.4%)을 웃돈 반면 대구·경북(4.3%) 부산·울산·경남(4.8%)은 오히려 평균 밑이었다. 이산가족이 있는 사람중에서는 긍정적 응답이 45.3%였고 이산가족이 없는 사람중에서는 47.9%여서 큰 차이가 없었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40대 '긍정전망' 78%로 가장 높아
■후속조치 이행 전망
6·15 공동선언의 이행 전망에서 응답자의 84.2%가 순조롭게 또는 대체로 잘 이행될 것으로 응답, 긍정적인 전망이 압도적이었다.
반대로 전혀 이행되지 않거나 실무협의가 어려워 잘 이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은 14.4%에 그쳤다. 구체적 후속 조치가 아직 나오지 않았는데도 긍정적 전망이 높게 나온 것은 김대중대통령의 평양방문 기간중 북측이 보여주었던 호의가 변화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인 탓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현 정권의 지지기반인 호남권 응답자의 91.6%가 잘 이행될 것으로 전망, 제주(91.9%)와 함께 가장 높았다. 반면 대구·경북권 응답자의 긍정 응답 비율은 78.4%로 가장 낮아 이행 전망이 현 정권에 대한 기대수준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연령층이 85% 전후의 긍정적 전망을 보인 반면 유독 40대만이 78.9%로 부정적 응답이 비교적 많았다.
20, 30대 젊은 층은 전세대에 비해 북한에 대한 편견이 적은 세대로 이 같은 유연성이 낙관적 전망을 뒷받침한 것으로 보인다. 또 50대 이상 노장층의 경우 전쟁경험 세대로서‘반드시 잘돼야만 한다’는 열망이 이행 전망에 그대로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40는 현실 인식이 강한 연령층으로 7·4 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등 선언적 수준에만 머물렀던 과거 경험에 따라 부정적 전망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노원명기자 narzis@hk.co.kr
"긍정기여" 83% 회담후 17%나 늘어
■남북관계 개선 영향
남북 정상회담이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는 긍정적 응답이 83.1%로 압도적이었다.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다’는 응답은 14.2%였고 ‘오히려 더 악화시킬 것이다’는 응답은 1.5%에 불과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정상회담 전(6월3일 조사)에 비해 긍정적인 응답이 대폭 늘어 이번 정상회담 성과에 대한 평가가 향후 전망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3일 조사에서는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는 응답이 63.7%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83.1%로 19.4%포인트 늘어났다.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응답은 32.1%에서 14.2%로 줄었고, ‘오히려 더 악화’응답은 3.3%에서 1.5%로 줄었다.
정상회담을 전후해 긍정적 의견으로 변화한 정도를 살펴보면 20대에서 23.1%포인트가 회담후 긍정적 응답으로 돌아섰고 60세 이상(+23.8%포인트), 블루칼라(+27.7%)등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높았다.
눈에 띄는 것은 현 정부의 취약지역인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경우, 3일 조사에서는 긍정적 반응이 55.2% 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79.3%가 나와 24.1%포인트 늘었다.
대구·경북에서도 정상회담전에는 긍정적 응답이 57.4%였으나 정상회담후에는 74.5%로 17.1%포인트 늘었다. 다만 영남지역의 경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응답이 대구·경북(19.7%), 부산·울산·경남(18.7%)등으로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태성기자 tsgo@hk.co.kr
"이산 상봉이 최우선" 56%가 꼽아
■시급한 과제
전체의 절반을 넘는 56.1%의 응답자가 남북간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이산가족 상봉 실현을 들어 분단의 가장 큰 생채기가 혈육간 생이별임을 다시 한번 말해주었다.
핏줄을 중시하는 동양적 문화, 1천만으로 추산될 만큼 폭넓은 이산가족의 분포, 특히 한국전쟁후 50년이 흘러 이산가족 1세대의 경우 상봉의 물리적 시한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절박한 상황인식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 전쟁 방지와 군사대결구도 완화가 15.4%, 남북 경제협력 추진이 11.4%로 뒤를 이었다. 소모적 남북대결에 대한 염증, 피폐한 북한 경제상황에 대한 동정심이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대별 학력별 인식차가 특히 두드러졌다. 모든 연령층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첫순위 해결과제로 꼽았으나 20대의 경우 그 비율은 46.6%로 50대의 69.8%에 비해 20% 이상 낮았다.
30대는 51.6%, 40대는 59.3%로 각 세대별로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현격한 인식차이를 보여줬다. 또 학력이 높을수록 이산가족 문제해결을 1순위로 꼽은 비율이 떨어졌다. 중졸은 응답자의 71.5%가 이산가족문제를 꼽은데 비해 대재이상 응답자는 46.3%만이 이를 들었다.
전쟁방지와 군사대결 구도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응답한 비율은 20대 응답자가 21.5%, 대재이상 응답자가 21.8%로 가장 높았다. 남북문제를 실리적, 현실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이들 응답층의 사고방식을 읽게 하는 대목이다.
/노원명기자 narzis@hk.co.kr
"대화 진척도 따라 폐지 검토" 45%
■ 보안법 개폐
국가보안법 개폐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45.9%의 응답자가 ‘남북대화의 진전도를 봐서 보안법 폐지를 차차 검토해야 한다’고 대답, 조심스럽고 유보적인 폐지검토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체제 유지를 위해 보안법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26.4%나 돼 남북문제에 관한한 여전히 두터운 보수층의 두께를 실감케 했다. ‘정상회담을 계기로 폐지를 적극 검토’가 10.2%, ‘전면 폐지보다 북한의 요구에 맞는 수준에서 개정’이 9.4%로 뒤를 이었다.
높은 연령대일수록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60세 이상의 경우 폐지검토 의견은 39.6%, 계속 유지를 희망한 의견이 33%로 비슷했으나 20대는 각각 58.8%와 24.2%로 폐지검토쪽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또 학력이 높을수록 폐지검토 의견이 높았다.
대재이상의 64.5%가 폐지검토 의견을 제시한 반면 중졸이하 응답층에서는 그 비율이 42.3%로 낮았다. 계속 유지 의견은 대졸이 19.7%, 중졸이하가 31.2%였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지역의 보수성이 두드러졌다. 이 지역 응답자의 32.7%가 국보법 계속 유지의견을 피력한 반면 폐지검토 의견은 44%에 그쳐 제주를 제외한 지역중에서 가장 낮았다.
성별로는 여성의 보수적 답변비율이 훨씬 높았다. 남성 응답자의 22.8%가 국보법 계속 유지를 희망했고 여성 응답자는 29.8%에 이르렀다.
/노원명기자 narzi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