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공동활용 추진“‘평화의 댐’을 남북화합의 상징물로 만들자.”
‘안보 사기극’이라는 혹독한 비난까지 받으면서 준공 12년이 넘도록 애물단지로 방치돼온 평화의 댐에 이제 그 이름에 걸맞는 역할을 찾아주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양측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활용방안을 찾아보자는 것이다.
한국수자원공사측은 “평화의 댐 이용문제는 사실상 정치적 문제”라며 “남북 양측이 협력하면 당장이라도 서로가 이익을 나누는 방향으로 공동 활용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전문가들도 그동안 수자원·수해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평화의 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직된 남북관계 등 현실적 장벽에 대해 자주 아쉬움을 토로해 왔다.
남방한계선에서 11㎞ 남쪽인 강원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에 건설된 평화의 댐은 길이 410㎙, 높이 80㎙에 저수용량 5억9,000만톤. 최근 백지화한 영월댐의 저수량에 필적하는 규모다.
그러나 이 거대한 댐은 현재 수문도 없이 4개의 배수터널을 통해 북한쪽에서 내려오는 물을 하릴없이 화천댐으로 흘려보내고 있을 뿐이다.
수자원공사는 평화의 댐에 제대로 수문을 설치할 경우 연간 4억5,000만톤의 용수를 공급하고, 5,000만톤의 홍수조절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수용량이 9억4,000만톤인 화천댐의 연간 발전량이 인구 35만명의 도시전체가 사용할 수 있는 10만8,000㎾인 점을 고려하면 평화의 댐에서도 최소한 그 절반이상의 전력생산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강원대 최한규(崔漢圭·52·토목공학)교수는 “북한측의 양해만 구할 수 있다면 당장이라도 평화의 댐을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용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있는 북한측에 평화의 댐 생산전력의 상당량을 반대급부로 제공하고 용수도 공동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미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금강산댐과 평화의 댐을 연계개발하는 방안을 상정한 바 있으며 지난해 2월 국토연구원과 강원개발연구원이 공동 수립한 ‘강원도접경지역 종합관리계획’은 화천댐-평화의 댐-금강산댐을 연결하는 내륙수운개발안도 담았다.
문제는 평화의 댐에 물을 채울 경우 북한지역의 수몰지역이 훨씬 크다는 점. 담수하면 남한쪽은 8㎢, 북한쪽은 16㎢가 침수된다.
이에 따른 보상비가 남측 250억원, 북측은 군사시설이전비 400억원을 포함, 880억원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 경우도 상수도 등 수자원기간시설을 북한측에 지원하는 방식 등으로 충분히 협상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있다.
평화의 댐은 북한이 86년4월 금강산댐 건설계획에 대해 우리 정부가 ‘북한의 수공(水攻)위협’을 들어 범국민모금운동을 벌인 끝에 87년 2월에 착공, 1,600억원을 들여 이듬해 5월 준공됐다.
그러나 북한은 금강산댐 수문을 남쪽이 아닌 원산쪽으로 내 동해안지역의 용수와 전력공급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평화의 댐과 그 주변에 조성된 비목공원은 98년 안보관광지로 지정돼 지난해에만 34만명이 다녀갔다.
이 곳 관계자는 “관광객들마다 이 거대한 구조물이 단순한 “조롱거리”로 버려져 있는데 대해 안타까워 한다”고 전했다.
곽영승기자
yskwa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