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갈등설’과 관련한 외국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자 그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적극적인 반격에 나서고 있다.외교통상부는 남북정상회담 합의 설명과정에서 우리 정부의 ‘대미 경시설’을 다룬 홍콩 ‘아시아 위크’지의 보도에 이어 27일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이 ‘미국이 북한 핵·미사일문제와 대북 경협의 속도를 연계시킬 것을 한국정부에 요구했다’는 내용을 보도하자 논평을 통해 즉각 반박했다.
외교부가 이처럼 외국언론의 보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도 ‘한·미 갈등설’이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 또 외국언론이‘한·미 갈등설’을 제기하는 이면에는 남북간의 직접 접촉을 견제하려는 세력의 의도가 숨어 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 관계자는“이들 외지의 보도 내용은 사실과 전혀 다르거나 사실관계를 뒤틀어 억지로 한·미 이견설을 부풀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언론들이 보도하는 한·미 갈등설의 핵심은 한반도 정책의 우선순위를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억제에 두고 있는 미국과 남북간의 화해·협력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한국 정부간에 마찰이 존재한다는 것. 남북관계의 급진전으로 북·미 관계 진전의 중요한 계기를 상실한 미국이 한국정부의 지나친 대북접근을 견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런 시각에 대해 한·미·일 3국간의 튼튼한 공조관계를 무시한 단편적 사고라고 일축하고 있다. 정부도 정책의 우선 순위에 대해선 한·미간에 입장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으나 갈등수준까지는 아니라는 것이다.
정부관계자는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자문관이 10일 “페리 프로세스는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남북대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며 “남북정상회담에서 한·미 공조를 통해 협의해온 사항들이 적절히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대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가 이산가족문제, 남북경협,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문제 등을 북한측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핵 및 미사일에 대한 미국의 관심사도 언급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한 외교전문가는 “남북정상회담의 성격상 핵과 미사일 문제가 주된 의제로 논의될 수는 없겠지만 한·미·일의 공조를 반영하는 적절한 수준의 언급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승일기자
ksi8101@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