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사상 최장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미국의 신경제에 대해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었다.OECD는 11일 발표한 미 경제에 대한 분석보고서에서 1990년대 미국은 새로운 경제구조로 전환했다는 관점을 지지한다며 그동안 신경제에 대해 보냈던 회의론을 철회했다. OECD는 지금까지 자료가 충분치 않다며 저실업률과 저인플레이션, 장기호황으로 특징지어지는 신경제에 대해 판단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을 펴왔다.
보고서는 “미 경제는 1970년대,1980년대 상실한 경제의 역동성을 만회하며 높은 잠재적 성장가도로 들어선 것 같으며, 이는 의미있는 경제구조의 전환과 연계됐다”고 평가했다.
OECD가 이처럼 미국의 신경제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한 것은 미 경제가 심각한 내적인 긴장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성장을 지속했기 때문이다. 1991년 중반 마이너스였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같은해 말부터 지속적으로 상승곡선을 유지해왔다. 반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은 하강곡선을 그리며 안정을 보였다.
OECD는 미 경제호황의 일등공신으로 컴퓨터와 정보통신 산업의 기술진보, 경제당국의 신중한 정책을 꼽았다. 보고서는 “기술혁신으로 투자재의 가격이 앞으로 계속 하락한다면 1850년대 이후 최장기록인 호황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미국의 1990년대 중반 노동생산성증가율은 1960년대부터 20년간의 평균증가율에 비해 2배를 기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그러나 지속적인 공급부족과 수요초과로 가계저축하락, 가계와 기업의 부채증가, 노동력의 부족, 잠재인플레 등의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1999년 4·4분기 경상수지적자는 2차대전후 최대인 GDP의 4.2%를 차지하고, 미경제의 대외의존도는 1990년대 전반기 5%에서 1990년대 후반기 20%까지 급증했다.
OECD는 현재의 성장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001년 성장률을 3%이하로 낮춰야 하며 이를 위해 단기기준금리를 올 여름말까지 1%포인트 정도 더 올려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재정흑자를 정부부채축소에 사용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의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기수기자mount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