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문용린(文龍鱗) 교육부장관과 나카소네 히로후미(中曾根弘文) 문부상간의 회담은 양국 교육장관의 첫 대좌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양측 교육당국의 오랜 현안인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에 관해서는 서로 조심스럽게‘말문’을 튼 것으로 끝났다.실무협의 과정에서도 우리측은 이 문제를 공식 의제에 올리자고 주장했고 일본은 첫 회담인 점 등을 들어 난색을 표시해 실랑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문 장관은 18일 환영만찬사와 이날 회담에서 “역사교과서 문제는 한·일간에 중요한 사항”이라는 원칙론을 꺼낸 뒤“다음 일본 방문때 이런 심각한 문제를 논의하자”며 ‘차기’를 기약했다.
나카소네 장관도 “역사교과서 문제가 어려운 점을 잘 알고 있다”며 “합리적이고 개방적인 역사인식을 토대로 전향적으로 풀어가자”고 원론적으로 응대했다.
일본 교과서의 ‘왜곡기술’ 문제는 1983년 교육부가 임진왜란을 한반도 ‘진출’로 표현한 부분 등 19개 항목의 개정을 공식 요구한 이후 어느 정도 개선이 이루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위안부 문제와 전후보상문제에 관한 기술 등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뜨거운 현안이다.
95년 11월 한일정상회담후 구성된‘한일역사연구촉진공동위원회’의 검토결과도 우리측 위원들이 작년 9월 외교통상부에 보고서를 제출한 반면 일본측은 아직 제출하지도 않은 상태다.
한국교육개발원 이찬희 박사팀도 최근 일본 고교 ‘일본사’ 7종과 ‘세계사’ 7종을 분석한 뒤 “한국학계의 연구성과를 많이 수용, 이전보다 진전된 역사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본에 불리한 부분은 은폐·축소하려는 왜곡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을 정설로 소개하고 있는 부분, 임진왜란때 귀무덤(耳塚·이총)을 위령탑으로 묘사하고 있는 부분이 단적인 사례다. 특히 종군위안부 문제는 범죄책임 소재 등은 뺀 채 ‘젊은 여성들이 위안부로 전쟁터에 보내졌다’고 단 한 줄로 처리된 채 남아 있다.
이광일기자
ki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