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시민연대가 12일로 발족 한달을 맞는다. 유례없는 대규모 시민단체연합체인 총선연대는 그동안 공천반대인사명단 발표 등 굵직한 정치·사회적 이슈를 선점, 국민의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지난달 12일 참여연대, 환경연합, 녹색연합 등 전국 460여개 단체가 참여한 총선연대의 출범은 총선을 앞둔 정치권에 예기치 못했던 충격이었다.
지난달 24일 부정부패 반민주 반인권 선거법위반 등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른 공천반대인사 67명 발표는 메가톤급 폭풍으로 정치권을 발칵 뒤집어 놓았다. 해당 의원들의 경악과 혼란은 물론이거니와, 현 정권 출범이후 탄탄하게 유지됐던 공동여당의 공조체제도 일순 금이 갔다.
같은달 30일 서울역 집회로 민심을 확인한 총선연대는 2일 원외인사를 주 대상으로 한 2차 공천반대인사명단(47명) 발표로 낙천운동의 고삐를 더욱 당겼다. 정치권은「음모론」과 「유착설」 등 총선연대의 도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반격에 나섰지만 여론의 전폭적 지지를 등에 업은 유권자심판운동의 정당성을 잠재우기엔 어려웠다.
총선연대는 9일 선거법 87조의 부분개정에 그친 선거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헌법적 정당성을 근거로 위법을 불사한 「시민 불복종」운동 및 각당 공천결과에 따른 낙선운동의 전개 등을 예고하며 2라운드를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과 부작용들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도 사실. 참여단체들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우려와 함께 내부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7일에는 한국여성유권자연맹과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의 「당선 운동선언」이란 해프닝이 돌출하기도 했다. 또 자료와 시간부족에 쫓기며 발표된 2차 명단에서 공신력 실추를 야기하는 문제들이 잇따라 발생한 것도 「옥의 티」로 지적된다.
시민의 공감대를 투표라는 현실적 행위로까지 이어가야하는 역량 개발과 함께 지역적 한계, 불법성 논란 등의 극복도 총선연대 앞에 놓인 난제들이다.
이주훈기자
ju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