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화 실태와 과제]경기 수원의 A고교 B교사는 작년 12월 중순 당혹스런 일을 겪었다. 담임을 맡고 있는 제자가 PC방에서 「브루드 워」(게임 「스타크래프트」의 속편)를 하다가 생활지도반 단속에 걸려 징계위에 넘겨진 것이다. PC방이 인터넷을 하고 이메일을 주고 받고 컴퓨터 게임을 하는 곳이라고 설명하고 싶어도 그저 「음란퇴폐업소」라고 생각하는 낡은 사고의 벽을 뛰어넘기 힘들었다.
에듀넷(EDUNET)은 한글로 된 국내 최대의 교육 관련 네트워크다. 이곳에 들어가면 학생은 학생대로, 교사는 교사대로, 공무원은 공무원대로 온갖 학습자료나 교육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에듀넷 ID를 알고 있는 교육부 공무원은 거의 없다. ID를 일괄 지급해줬지만 거의 써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교사와 학생들에게는 『에듀넷을 많이 활용하라』고 당부한다.
또다른 사례. 대학 논술고사에서 수험생들은 200자 원고지에 글을 쓴다. 고교에선 컴퓨터로 쓰고 프린터로 인쇄해 숙제를 내면서 논술고사때는 원고지를 쓴다.
지난해 4월 교육부가 초중고교생 4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집에 컴퓨터는 있는데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가 전체의 70%였다. 컴퓨터가 있어도 인터넷이 안되면 에듀넷이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해 학습자료를 활용할 도리가 없다. 그런데도 컴퓨터만 사주면 다 되는 것처럼 생각하는 학부모가 적지 않다.
이런 의식의 후진성은 컴퓨터가 없다거나 인터넷망이 깔려 있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 이상으로 교육정보화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교육부 김준형(金俊亨) 교육정보화 담당관은 『교육정보화가 제대로 되려면 PC 보급 등 물적 기반이 갖춰져야 하는 것은 물론, 가르칠 교사를 양성하고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싸게 공급하며 교육과정도 개편해야 한다』고 말한다.
정부는 지난 3일 대통령 신년사를 계기로 교육정보화 부문에 올해 약 1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우리나라 복지예산의 30%에 달하는 거액이다. 유엔 회원국 가운데 복지예산 비중으로 따져 120위를 넘어가는 대한민국에서 이 정도 세금을 투입한다는 것은 혁명적인 일이다.
그러나 올해부터 시행하는 제7차 교육과정을 들여다봐도 인터넷 등을 적극 활용하는 수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나마 그럴 만한 교사도 많지 않다.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 교사는 『교과서를 나눠줄 때 CD롬도 같이 주면 좋을 것』이라며 『CD롬에는 교과서에 다 담지 못한 온갖 학습자료를 수록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CD롬을 열어보는 데서부터 컴퓨터에 접근시키자는 얘기다.
교사 컴퓨터 교육은 교육청별로 진행하고 있다. 교육부는 특히 미래의 교사인 사범대와 교대생들에게 컴퓨터 교육을 강조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교사 스스로 변화에 맞춰 변신하려는 노력이 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그나마 예산부족으로 소프트웨어도 태부족이다.
이처럼 우리가 각 부문에서 우물쭈물하고 있는 사이, 미국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앞서가고 있다.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는 1998년 「학습체계구조」
(LTSA·Learning Technology Systems Architecture)」라는 문건을 발표했다. 교수, 연구원들이 모여 오랜 집단연구 끝에 학생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 맞춤 교육」 방법을 고안해낸 것이다. 여기에는 물론 컴퓨터,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를 총동원하도록 돼 있다. 미국의 많은 학교들이 이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LTSA 총론에 보면 이런 얘기가 나온다. 『가르쳐줬는데도 모르면 다시 가르쳐라. 한 번 가르쳤는데 아는 학생은 빨리 알도록 가르쳐라. 잘 하는 학생은 더 잘하도록 하라』 등등. 「어떻게」는 이 문건에 다 제시돼 있다.
우리 모두의 책임은 누구의 책임도 아니게 되기 십상이지만, 교육정보화는 학생과 교사와 학부모와 사회와 정부가 지혜를 모으지 않으면 안되는 과제다. 길은 멀고 험한데 짐은 무겁기만 하다.
이광일기자
ki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