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를 먹으란 말이냐, 말란 말이냐」유전자변형(GM:Genetically Modified) 콩을 사용한 시판 두부 파문이 13일로 열흘째를 맞지만 정부의 대처가 미흡해 소비자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유전자변형 두부 유해 논란으로 소비자들은 우왕좌왕 하고, 백화점 등 유통업체의 두부 매출격감이 계속되는 등 파장이 수그러들 기미가 전혀 없는데도 정부는 뒷짐만 지고있다. 「사든지 말든지 소비자들이 알아서 판단하라」는 태세다.
3일 한국소비자보호원의 「국내 시판두부 82% 유전자변형성분 콩 사용」 발표이후 「한국의 FDA(미국 식품의약국)」를 자처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내놓은 대책은 소비자보호원에 대한 반박 보도자료와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들에게 내민 서면답변서가 전부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안전성이 입증된 유전자변형 농산물(GMO)만 식품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해하지는 않지만 소비자들에게 「선택권」을 주기위해 GMO표시제를 도입할 예정이라는게 골자다.
식품 전문가들과 소비자 단체에서는 식약청의 이같은 논리가 이율배반적인데다 책임 회피성 발언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자국의 이해에 따라 유리한 쪽으로 결론이 나게 마련인 안전성 부분을 그대로 국내에 적용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며, 「선택」 운운하는 것도 부작용이 생길 경우 그 책임을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떠넘기려는 발상이라는 설명이다.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는 『두부파문의 핵심은 GMO식품의 유해여부』라며 『식약청이 시판중인 GMO식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한 적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정부가 GMO 및 GMO를 이용한 식품 표시제를 늦추는 바람에 이번과 같은 사태가 발생했다고 보는 시각도 많다.
농림부는 7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을 제정, 대상품목에 대해 GMO임을 표시할 예정이었지만 4개월이 되도록 품목을 결정하지 못해 시행을 미루고 있다. 또 식약청도 지난달 초 GMO식품 표시제를 도입키로 방침만 정했을 뿐 세부 시행방안 마련은 답보상태다. 결국 정부의 안이한 자세가 「화」를 자초한 꼴이 됐다.
박병상(朴炳相)생명안전윤리 연대모임 사무국장은 『세계적인 곡물기업인 AMD도 미국 농민에게 유전자변형 작물을 심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을 정도』라며 『정부가 대책을 세운다면 유전자변형식품 표시에 앞서 유전자변형 농산물 표시 의무화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로 「고사직전」이라며 울상을 짓고 있는 두부 제조업체도 정부에 노골적인 불만을 털어놓고 있다. D식품 관계자는 『사태가 이 지경까지 왔는데도 정부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공급한 콩은 정부가 책임을 지라』고 요구했다.
한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 1월 식품전문가 1,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응답자 464명중 80.5%가 GMO식품의 잠재적 위험성이 우려된다고 답했고, 해결책으로 46.3%가 관련 제도 및 법규를 통한 정부규제를 들었다.
김진각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