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건물 옥상에 미끄럼틀 등 놀이터를 만들어 놓은 서울 상도동 S유치원. 바닥엔 모래도 깔려 있지 않고 추락방지용 철망조차 없다.보육교사는 『아이들이 담장주변에 가지 않기로 약속했다』는 말로 안전을 대신했다. 성내동의 M어린이집은 소방대피시설인 완강기를 아예 떼냈다. 『미관상 보기가 안좋잖아요. 불날 일이 있겠어요』
부산 북구 S어린이집과 C재활원. 누전차단기는 물론 피난구나 유도등도 없다. 옥상 출입구는 잠겨있고 계단도 물품박스로 가득 차 있다. 대구 S고교 등 신축한 학교건물 상당수는 방염재 사용의무를 위반한 채 가연성 플라스틱 내장재를 사용, 화재시 독가스실로 변할 위험을 안고 있었다.
가장 안전해야 할 교육현장이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
최근 서울 소방방재본부의 안전점검 결과에 따르면 서울지역 청소년 수련시설중 절반가량이 소방안전 불합격판정을 받았다. 부산에서는 보육 및 사회복지시설과 수련원 1,490개소중 45%인 668개소에서 1,004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경남에서도 1,130개 교육시설 가운데 400여개소가 소방시설 미비로 시정·행정명령을 받았다.
대학의 안전불감증은 더욱 심각하다. 올 8월 서울대가 실시한 실험실 안전관리 실태에 따르면 실험실의 절반가량이 환기장치와 실험용 장갑 안경 마스크 등을 구비하지 않았고 안전교육도 제대로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가오면 실험내용도 모르는 학생을 차출해 밤샘작업을 해요. 실험기기를 마구잡이로 설치하다 보니 전기배선이 난마처럼 얽혀 손조차 댈 수 없어요.
솔직히 언제 전기합선 화재나 안전사고가 날 지 불안합니다』(서울대 공대 석사과정의 K씨) 『안전이요. 프로젝트 기한 맞추기도 빠듯한데 신경쓸 겨를이 없어요. 괜히 말꺼냈다간 교수님한테 핀잔만 듣기 십상이죠』(연세대 자연대 박사과정 L씨).
초·중·고교와 대학 등 교육·연구시설은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 설치의무가 상당부분 면제되고 소방점검도 대부분 자율에 맡겨겨 있다. 대학 실험실의 자동화재탐지기는 꺼져 있는 경우가 허다하고 놀이방 등 소형 보육시설은 소방관리 대상에조차 포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서울 소방방재본부 윤영철(尹英哲) 예방팀장은 『교육기관은 안전문제를 지적해도 시정이 안된다』며 『안전관리체제 개선 및 소방교육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상준 기자 / 정광진 기자 / 배성규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