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전대통령의 사조직이었던 민주산악회가 6일 재출범의 깃발을 올림으로써 정치권에 여도 야도 아닌 제3의 정치결사체 등장이 기정사실화 했다. 정치권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그동안 민주산악회(이하 민산)의 재건 여부에 관심을 기울여 왔는데, 그 관심의 초점은 민산이 결국 YS신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이다.민산은 현재 신당창당은 없을 것이라고 부인하지만 이를 믿는 정치인은 거의 없다. 민산이 중앙과 지방조직 재건을 완료하고 정식 출범식을 가질 경우 정당으로서의 대체적인 형태는 갖추는 셈이 되고, 이후 언제라도 YS신당으로의 전환은 가능한 것이다.
민산의 재건을 보는 국민들의 눈은 결코 곱지가 않다. 김명윤의원은 민산의 활동목적을 『DJP정권에 대한 반독재 투쟁에 나서기 위해서』라고 밝혔는데, 반독재 투쟁은 다름아닌 반DJ투쟁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정설이다.
김대중정권에 장기집권의 음모가 있는지, 또는 독재의 요소가 있는지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굳이 군사정권 시절의 민주산악회「투쟁정신」을 계승하면서까지 조직을 재건해 투쟁에 나선다는 것은 분명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반독재 투쟁의 명분을 내걸고 민산재건에 나선 것은 목적이 다른데 있다는 의구심을 받기에 충분하다. 특정지역 정서를 배경에 두고 다가 올 총선은 물론 이른바 영남 대안부재론 또는 영남정권 재창출론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기 때문이다.
민산은 이미 그 활동개시 자체로서도 지역감정을 더욱 자극하고, 정치구도를 다기화 시킴으로써 정치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민산 재출범은 따라서 「3김정치」행태를 지속시키고, 야당의 전열분산과 대정권 견제력을 약화시키는등 정치의 비생산성 확산에 기여 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국민들은 이런 우려를 전제로 향후 민산의 세불리기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점을 민산 관계자들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전대통령이 정치일선에서 퇴장하지 않는 이유중 하나는 김대중대통령과의 정치적인 라이벌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학자들이 있다.
한 사람의 정치적 성향이 현실에서의 큰 정치문제가 되고, 나아가 국가적 문제로 비화하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일일뿐만 아니라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민주산악회는 군사문화에서 빚어진 정치적 후유증의 하나이다. 이젠 산악회가 산을 오르내리며 친목을 다지는 데서 그치는 시대가 되기를 많은 국민들은 바라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