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평화유지군(KFOR)이 9일 체결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신유고연방의 군사협정에 따라 코소보에 주둔하게 됐다. KFOR의 원칙적인 목표는 난민의 무사귀환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것. 유엔안보리 결의안 초안에 따르면 KFOR은 유엔의 감독하에 나토의 군사지휘를 받게 돼 있다.KFOR의 코소보 진입에 앞서 유고군은 나토의 확인이 가능한 경로를 통해 철수하는 한편, 최소한 세르비아 내부 25㎞지점까지 대공방어망을 후퇴시켜야 한다. 19일로 데드라인이 정해진 유고군 철수가 완료되면 KFOR은 이를 확인한 뒤 몇시간이 지나서 코소보 진입을 시작하게 된다.
KFOR은 주요 지휘거점을 접수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코소보 접경 세르비아 내부에 설정된 5㎞ 완충지대를 장악할 예정이다. 이때 코소보 내부에는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유적지 보호 등을 위한 상징적 수준의 유고병력이 잔류하게 된다.
KFOR의 진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유고군과 KFOR이 바통을 주고받는 「몇시간」을 틈타 불거질 지 모르는 소요사태다.
이때 인수인계 절차가 지연될 경우 권력공백 상태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코소보해방군(KLA)이 정치·군사적으로 주도권을 잡으려고 시도함으로써 상황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
코소보에 진주하는 각국군대의 관할구역도 문제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등 나토군 주력 5개국은 보스니아 평화유지군의 사례를 본따 구역을 나눠 관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최대규모의 병력을 파견하는 영국은 프리슈티나에 설치되는 KFOR 사령부를 지휘하게 되며, 미국이 마케도니아 접경 그릴리아네를 관할한다.
그러나 러시아는 아직까지 자국의 관할구역을 놓고 나토와 이견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측은 나토군이 배치되지 않는 북부지역을 맡기를 바라고 있지만, 나토는 실질적으로 코소보를 분할하는 결과가 초래될 지 모른다며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나토는 『러시아가 병력을 파견할 수 있을 만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는 지조차 알 수 없다』며 의혹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FOR은 미국과 영국등 각국에서 파견된 5만명의 다국적병력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2,000~1만명 정도의 러시아군이 더해 질 것으로 보인다. KFOR가운데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가장 먼저 코소보에 진주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영기자 kimj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