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주 유고 중국대사관 오폭에 대해 중국 정부는 10일 강수(强手) 대응을 구체화했다.이날 중국 외교부가 내놓은 미·중 고위급 군사교류 중단등의 조치는 비록 상징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이번 사건에 대한 중국측의 인식과 향후 대응방식을 가늠케 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중국당국은 사건이후 이틀간 대규모 시위를 사실상 「동원」하는 것으로 대미 강경의사 표시를 하다가 이날 정부차원의 공식조치를 취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중국의 반미시위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어서 이같은 강경대응이 낳을 후속파장이 관심이다.
중국인들은 이번 대사관 피폭사건을 「잠재적인 영원한 적」인 미국이 중국을 향해 저지른 「의도적 공격」으로 단정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같은 감정에는 미국에 대한 깊고 넓은 중국의 피해의식과 반미의식이 깔려있다. 150여년전의 아편전쟁, 100여년전의 의화단 사건, 장제스(張介石) 대만정부에 대한 지원, 끊임없는 인권문제 제기,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견제 등은 중국인 가슴에 반미감정을 뿌리고 키워놓았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한 전문가는 『이번 시위의 기세는 미국의 야만적 습격이 세계여론화하고, 분명한 태도를 표명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사건의 여파가 2류 군사대국인 중국의 군비증액으로 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론이 더 설득력이 있다. 한 대학교수는 『항의시위는 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며 모든 시위와 집회가 당국의 허가를 얻어 이뤄지고 있는 점을 들었다. 그는 『중국 지도부는 경험을 통해 시위가 대규모로 번지면 통제가 불가능하며 동란(動亂)화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올해는 6·4 천안문 사태 10주년과 마카오 반환, 건국 50주년 등 굵직한 행사들이 예정돼 있어 시위가 장기화할 경우, 중국 지도부가 느끼는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중국당국이 대사관 피폭에 대한 보복조치로 강경카드를 내놓았지만 국민의 반미감정이 어느정도 표출되면 적절한 선에서 타협하고 시위통제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문제는 미국이 어떤 카드로 중국을 달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베이징=송대수특파원 dssong@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