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과 미국 중국 등 기존 4자회담 멤버 외에 일본과 러시아까지 참여하는 「6자회담」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10일 『정부는 이달 하순에 있을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6자회담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라며 『최근 한·러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열린 양국간 사전 의제협의 과정에서 6자회담을 본격 추진키로 하고 이같은 내용을 정상회담후 발표할 공동선언문에 포함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국민의 정부가 출범후 6자회담의 추진 필요성을 비공식적으로 언급한 적은 있으나 이를 당사국과의 정상회담후 공동성명을 통해 밝히는 것은 처음이다.
정부 관계자는 『그동안 4자회담에서 소외된 러시아와 일본이 6자회담을 열자는 주장을 해 왔으나 기왕의 4자회담마저 지지부진한 상태여서 6자회담 추진은 보류된 상태였다』며 『그러나 러시아측이 6자회담 추진을 강력히 요구해 이를 수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6자회담의 성사 여부는 북한측의 참여에 달려 있는 상태』라며 『북한의 참여 문제는 러시아측이 자신들에게 맡겨 달라고 자신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6자회담에는 일본측도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며 『김대통령의 대북포용정책에 따라 북·미, 북·일 수교협상이 진행될 경우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한반도를 둘러싼 4강이 모두 참여하는 논의구조가 필요하다』고 6자회담 추진배경을 설명했다.
러시아측은 「신(新)조·러우호협력조약」서명을 위해 6월 초 방북하는 이고르 이바노프 외무장관이 북한의 6자회담 참여문제를 매듭지을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6자회담이 기왕의 4자회담에 러시아와 일본이 추가로 참여하는 형태가 될 지, 아니면 전혀 새로운 대화채널이 될 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승용기자 syyoon@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