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미디어/학보] 대학내 성문제 대책마련 분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미디어/학보] 대학내 성문제 대책마련 분주

입력
1999.04.15 00:00
0 0

최근 대학마다 성(性)문제를 보다 적극적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다. 대학 구성원이 참여하는 성폭력 대책기구를 만들거나 성폭력 관련학칙을 제정하는 등 성폭력 문제에 대해 자체적으로 「메스」를 들이대는가 하면, 성에 대한 다양한 토론장을 마련해 올바른 성문화 정착을 시도하고 있다.성균관대는 최근 발행한 성대신문에서 「학내 성(性)문화 진단」이란 특집기사를 통해 대학내 성관련 설문조사 내용을 다뤘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8.5%가 「자유로운 토론의 장이 열려야 한다」라며 성의 담론화 부족을 지적했고 이어 「성교육강화」(21.1%) 「성폭력문제 해결」(14.4%)등을 꼽았다.

또 「성에 대한 고민을 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3.3%가 「없다」라고 답변했고,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도 51.5%가 「성의식이 부족·왜곡돼 있다」고 답변해 학생 스스로 학내 성문화와 성교육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성대 총여학생회는 학교측에 성폭력 학칙제정을 강력히 요구하며 동성애자까지 이해하고 자유롭게 어울릴 수 있는 토론의 장(場)을 마련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성문제에 가장 발빠른 행보를 보인 대학은 서울대. 교내 성폭력을 뿌리뽑기 위해 「성정치(性政治)위원회」를 구성, 관련 학칙제정을 추진중이다.

성정치위는 성문제의 대상을 여성에 한정하지 않고 동성애 매춘 등 사회 전반적인 관심사항으로 폭을 넓히고 있다. 이들은 언어 불쾌감을 주는 몸짓 신체접촉 등 10여개의 성폭력 유형을 명시하고 이를 어길 경우 대자보를 통한 명단공개와 함께 여성단체 봉사활동을 의무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으며 학교당국과 지역주민까지 참여하는 성관련 공청회를 계획하고 있다.

숭실대와 한양대도 올해말까지 성관련 학칙을 제정할 예정이고 지방에서는 충북대가 이번 학기부터 학내 성폭력문제 공동대책기구를 구성, 감시 및 계몽활동에 들어갔다.

/염영남기자 liberty@hk.co.kr

*[미디어/학보] 화장실게시판은 쌍방향 통신수단

『자판기가 돈을 먹었어요』 『지갑을 보관하고 있으니 XXX-XXXX로 연락주세요』 『앞마당에 함부로 낙서하지 맙시다』

한양대 인문대는 이번 학기부터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교류를 위해 현관과 화장실에 의견게시판을 설치했다. 게시판은 「의견」과 「답변」 코너로 나눠져 있어 쌍방향 통신수단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한 학생이 『인문대 도서관 복도를 지나가는 발소리가 들려 집중할 수 없으니 복도에 카펫을 깔아달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다음날 곧바로 『카펫은 먼지가 나니 고무바닥재는 어떠냐』라는 의견이 제시됐고 이런 의견을 종합한 학생회는 『학교측과 상의해 근일내로 바닥재를 깔기로 했다』는 「공식답변」을 전했다.

물론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해 달라』 『교문과 대학건물사이에 청룡열차를 운행하자』 등 터무니 없는 의견도 많지만 학생들 대부분 게시판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다른 단과대학들도 게시판 설치에 동참할 계획이다.

인문대 학생회장 박영웅(23·사학4)씨는 『학생-학생회간의 괴리감을 좁히기 위해선 복지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생각으로 게시판을 설치했다』며 『앞으로 웹사이트개설 등 다양한 의견교류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주훈기자 june@hk.co.kr

*[미디어/학보] "DJ정부 정치. 경제만 '낙제'면했다"

전국대학신문기자연합이 지난달 12일부터 20일간 서울대 등 전국 46개대학 1,17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현 DJ정부는 정치와 경제 등을 제외한 대부분 영역에서 「낙제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정치, 경제·노동, 사회·인권, 통일, 외교, 문화, 교육 등 7개분야에 걸쳐 진행됐다. 특히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청년예비실업자 문제에 대해 「못하고 있다」(497명, 42.3%)와 「매우 못하고 있다」(239명, 20.4%)고 말해 실업대책에 대한 불만이 상당함을 보여줬다.

/이주훈기자 june@hk.co.kr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C) COPYRIGHT 1999 THE

HANKOOKILBO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