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버스카드가 필요 없어져서 카드를 반납하려고 충전소에 갔다. 버스카드의 보증금 1,500원을 환불해 달라고 하니 그곳에서는 환불이 안되고 버스운송사업조합이나 한미은행에 가라고 했다. 그래서 카드 뒷면에 쓰여 있는 「충전소에서 카드 반납시 보증금은 환불해 드립니다」는 내용을 보여줬다.그러자 충전소주인은 불쾌한 표정을 지으며 왜 여기 와서 따지냐고 말했다. 어쩔수 없이 다른 충전소 몇 군데를 들러보았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은행에 가보려고 했으나 보증금 1,500원을 받으려고 차비까지 들이며 은행에 가는 것도 우습고 은행에 간다고 보증금을 환불 받을 수 있다는 확실한 보장도 없어 포기했다.
시민들의 믿음직스러운 발이 되어야 할 버스회사가 시민들과의 약속을 이렇게 저버리다니 버스회사의 횡포에 정말 화가 난다. 버스회사(버스운송사업조합)는 「IMF시대에는 절약 뿐,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라고 말하기 전에 시민들과의 조그마한 약속을 먼저 지킬 줄 아는 「시민의 발」이 되어야 한다.
김보현·인천 서구 가좌1동
친구가 겪은 일이다. 휴대폰을 분실해서 가입 통신회사의 서비스센터에 문의했더니, 미납요금을 처리하고 신고를 하라고 했다. 타인이 가져간 것이 분명하기에 당장 그쪽에서 국제전화라도 사용을 하면 어쩌냐는 질문에 그러니까 빨리 요금납부를 하라는 말만 하고 일방적으로 끊어버렸다. 물론 요금을 내지 않은 것은 이용자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이지만 이 때문에 가입자를 인정하지 않는 듯한 태도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또 휴대폰을 찾지 못해 의무가입기간에 묶여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민하는 친구에게 통신회사에서는 용산에 가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며 장물구입을 권했다.
휴대폰 가입을 위해서는 온갖 수단과 비용을 들이면서 정작 가입자들에게는 그 반 만큼의 서비스조차 제공하고 있지 않고 때론 불법행위까지 권하고 있다. 요금만 받으면 된다는 안이한 생각을 휴대폰 사업자들은 버려야 할 것이다. 강소정·인터넷한국일보 독자
(C) COPYRIGHT 1998 THE HANKOOKILBO -
KOREALIN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