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 중위 사망사건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내 한국군의 북한군 접촉 사건으로 확대되면서 국회 국방위 「김훈 중위사망 진상파악 소위」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소위가 한국군의 북한군 접촉사건을 인지한 것은 3일 1차 회의때 김중위 소속 부대원의 진술을 청취하면서부터다.소위는 이때 『부소대장 김모중사가 북한군과 수시로 접촉했다』는 진술을 들으면서 문제의 심각성에 경악했다. 공개 진행되던 회의는 당시 참석했던 군 정보당국자의 요청에 따라 비공개로 전환됐다.
당초 김중위의 타살 가능성을 조사하려던 소위는 이 사건이 모종의 용공혐의점을 은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저질러졌을 개연성도 조사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소위는 이에 따라 2월3일 판문점에서 귀순한 북한군 변용관 상위를 참고인으로 불러 진술을 듣는 한편 국방부의 신문조서를 확보, 다수의 JSA 한국군 경비병이 북한군과 접촉했다는 내용을 확인했다.
소위는 이어 4차에 걸쳐 김중위 부대 부대원, 변용관 상위, 김중위 시체 부검의및 법의학자, 군 수사당국자 등으로부터 참고인 진술을 듣는 한편, 현장 조사와 개별 접촉도 병행했다. 소위는 이 과정에서 김중위가 타살됐다는 심증을 굳히고 9일 중간활동결과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소위는 이날 특히 군 수사당국이 김중사의 용공 혐의점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소위 활동에 따라 수사를 시작하고서도 대외적으로는 자체 인지 수사 형식을 취한데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소위 위원은 국민회의 임복진(林福鎭) 장을병(張乙炳), 한나라당 하경근(河璟根·소위원장) 정창화(鄭昌和), 자민련 이동복(李東馥) 의원으로 한영수(韓英洙) 국방위원장도 수시로 조사과정을 챙겼다.<김병찬 기자>김병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