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작고 가벼워질 때까지’/시인 박남준 글·그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작고 가벼워질 때까지’/시인 박남준 글·그림

입력
1998.10.14 00:00
0 0

◎질긴 인연 훌훌 털고 훌쩍 떠난지 8년/세속에 띄우는 山中 편지/모악산 자락 폐가에서 버들치·칡넝쿨 친구 삼아/‘그냥 산’ 소박한 생활할 수만 있다면. 세상 사는 것이 견디기 힘들 때 우리는 「할 수만 있다면」 어디로든 훌쩍 혼자 떠나고 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쉽지 않다. 온갖 인간관계, 생활의 짐, 나를 얽어매고 있는 질긴 끈들을 벗어나 떠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시인 박남준(朴南濬·41)은 그렇게 했다. 8년 전 그는 전북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모악산 한 외진 구석에 쓰러져가던 무가(巫家)로 갔다. 말 그대로 배낭 하나 달랑 메고 갔다. 그는 그 곳에서 쌀과 된장만으로 밥해먹고, 개울의 버들치와 산중의 칡넝쿨, 물가에 핀 물봉선을 자기 새끼이자 친구 삼아 아직 총각으로 8년여를 보냈다. 실천문학사가 펴낸 그의 글과 그림이 담긴 산문집 「작고 가벼워질 때까지」는 그간의 산중생활에서 그가 보고 듣고 느낀 생각들을 담은, 세속에 보내는 편지이다.

「칠 년이 되도록 이 산중에 사는 것도 미안한 일이어서 그간 삭정이나 죽은 나무들 그리고 솔잎 떨어진 것들을 갈퀴로 긁어서 견뎌왔는데 생나무를 베어 장작을 하기는 올해가 처음이다. 나무를 베면서도 이거 내가 죄를 짓고 있지 죄를 짓고 있어, 살아 생전 이 많은 죄며 빚을 어찌 다 갚고 가나 하는 생각이 꼬리를 물고 떠오르곤 했다. 서툰 도끼질을 하다 장작이 튀어 정강이라도 되게 얻어맞으면 그래 이거 벌받는군, 벌받아 싸지 하며 쓴웃음을 지었다」. 글로 자신을 그럴싸하게 포장하는 이들도 많고, 오지여행이라도 한번 갔다 오면 해탈했다는 포즈를 취하는 이들도 많은 세상이지만 박씨의 글은 그의 생활 자체처럼 소박하다. 아침에 일어나면 햇빛 보고 눈 비비고 채마밭 가꾸고, 산나물 캐고 시 쓰고, 잠 안오는 밤이면 나무나 고무판을 쓰걱거려 판화를 그려보는 것이 생활의 전부다.

그러는 사이 그의 생활이 입소문으로 알려져 요즘은 사람들이 많이도 찾아온다. 찾아와서는 어떻게 이렇게 살 수 있느냐고 물을 때가 그는 가장 난감하다. 『내가 무슨 선지식(善知識)이라고… 그냥 살 뿐이지요』. 문우들이 이름붙여준 「모악산방(母岳山房)」에 손님이 오면 내놓을 것이라고는 녹차밖에 없는 그는 가마솥에 밥하고(쌀이 있을 경우에만) 하루에도 대여섯번 손님 대접하느라 차를 마신다. 배낭 하나밖에 안되던 짐은 사람들이 주고 간 가스레인지와 전기밥솥으로 엄청나게 늘었지만 그는 여전히 장작불로 밥을 짓는다.

『「동의보감」을 쓴 허준이 그랬다고 합니다. 아무리 값비싼 약재라도 내가 정성을 들여 달인 값싼 약재만 못하다. 어머니의 정한수 같이 내 삶을 정성스럽게 한다면 나 자신이 바뀔 것입니다』.

84년 등단, 90년에 첫 시집 「세상의 길가에 나무가 되어」를 낸 뒤 모악산으로 떠난 박씨는 그곳에서 두 권의 시집을 일궜다. 늘 입고 지내는 한복 윗저고리는 고향 전남 법성포에 계시는 어머니가 바느질해 주신 것. 인근에 사는 문인 김용택 이병천 등이 붙여준 그의 별명은 「풀여치」이고 「전주의 눈물」이다. 유난히 여려 불쑥불쑥 눈물 흘리는 그의 심성에 붙여진 이름이다.<하종오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