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동시 금리 인하/IMF·IBRD 합병 등에 이견/“공동대처” 인식확산 수확세계경제가 유례없는 침체기를 맞고 있는 때 열려 관심을 끌었던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IBRD)의 연차총회가 8일(현지시간) 세계경제 위기에 공동의 해법을 던지지 못하고 폐막됐다. 5일동안 182개 회원국 대표들은 국제적인 경기부양, 국제금융질서의 개편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두고 토론을 벌였으나 공동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공감했을 뿐 행동에까지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미셸 캉드쉬 IMF 총재도 이날 폐막 기자회견에서 『각 회원국들이 세계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할 것인가에는 의견을 같이 했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앞으로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차총회와 함께 열린 G7, G22 재무장관 회담에서 빌 클린턴 미 대통령은 1930년대 미국의 뉴딜 정책과 유사한 「세계적인 뉴딜 정책」을 제안했으나 구체적인 협의는 11월 런던에서 열리는 G7 정상회담으로 미뤄졌다. 특히 국제적인 경기부양을 위해 선진국들의 동시 금리인하 합의가 기대됐으나 아직은 자국 경제의 특수성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미국 독일 일본 등의 소극적인 견해에 밀리고 말았다.
금융위기의 방지 및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IMF는 극심한 위기에 처한 나라들에 한해 일시적으로 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을 허용하는 방안을 내놓았으나 역시 회원국들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또 클린턴 대통령도 금융위기가 임박한 나라들에 대한 긴급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다자간 은행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으나 IMF 충당금을 내지못하고 있는 현실때문인지 큰 지지를 받지 못했다.
또한 구제금융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는 IMF의 입장에 대해 IBRD가 『세계은행의 고유업무는 빈국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반대, IMF와 IBRD의 합병 내지는 협조에 바탕을 둔 국제금융질서의 개편 논의도 큰 성과를 거두기 못했다.
그러나 이번 연차총회에서 『경제위기가 한 나라만의 일이 아니라 공동으로 대처해야 할 사안』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은 수확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라틴 아메리카로의 금융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브라질에 대한 IMF 구조금융 방침이 결정되고 아시아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한 일본의 노력이 가시화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워싱턴=신재민 특파원>워싱턴=신재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