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論 배제 ‘대치 어디까지…’ 주목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7일 일전불사의 「전의(戰意)」를 드러내 보였다. 취임 초반의 김대통령에게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모습이다.
김대통령은 이날 한나라당 대선자금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고 규정했다. 야권과의 타협 가능성을 배제하고 강공책을 사용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때를 맞춰 김중권(金重權) 비서실장, 이강래(李康來) 정무수석 등이 일제히 정치권 사정의 전선(戰線)이 확대될 것임을 예고했다. 김실장은 야당의원 영입일정을 공공연히 내비치기도 했다. 김실장은 『우리 나라는 일괄타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정치권 사정 등) 엉뚱한 것이 타결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며 정치적 타협이나 완급조절의 가능성을 배제했다. 이수석은 『국세청을 대선자금 모금에 동원한 것은 「국정문란행위」, 또는 쿠데타와 같은 것』이라는 표현을 동원했다.
여권 핵심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정국 운영의 노선과 관련한 김대통령의 「결심」을 시사하는 것이다. 김대통령은 최근 『중대 결심으로 정치개혁을 추진하고,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말을 했다. 김대통령이 사용하는 「정치 개혁」이란 표현에는 정치인 수사를 통한 부정부패의 척결 뿐 아니라, 의원 영입 등 여권의 안정세력 확보라는 의미가 함께 내포돼 있다. 여기에는 또 물갈이를 통한 여권 내부의 체질 개선도 들어 있다.
이같은 범주의 정치개혁을 추진하자면 결국 야당과, 또는 여권 내부에서 「대결」이 불가피하다. 사정의 전선을 제한하고 대화국면을 만들자는 주장이 여권 일각에서 제기된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 여권 핵심부의 언급으로 미뤄볼 때 이같은 화전론(和戰論)은 일단 배제된 분위기다.
강경 노선이 어디까지 계속될 것인 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여권의 방침은 지난 6개월간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당측에 끌려다닌 경험을 거울 삼아 초반에 분위기를 잡겠다는 속셈이 작용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와함께 한나라당측이 「이신행(李信行) 국회」에 이어 또 다시 임시국회를 소집해 비리혐의 정치인 소환을 가로막고, 대선 자금에 대한 맞불을 지피고 나온 데 대한 강한 반발심리가 깔려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어느 시점에서는 김대통령이 타협의 손길을 다시 내밀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수석이 이날 『국세청을 통해 대선자금을 모금한 데 대해 당시 대선후보가 유감 표시라도 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말한 것도 화평의 조건이 아니냐는 추측이다. 하지만 현 국면에서 여권의 태도는 이회창(李會昌) 총재에 대한 직접 조사까지도 불사하겠다는 분위기다.<유승우 기자>유승우>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