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일대를 강타한 폭우로 경기 파주·고양·양주 일대의 서울 시립묘지와 공원묘지의 분묘 3,498기가 유실되고, 6,135기가 파손됐다고 한다. 이중 시신이나 유골이 흙더미와 물살에 휩쓸려 가버린 분묘가 반이 넘어 연고자들이 망연자실하고 있다. 어렵게 찾은 유골을 수습해 다시 매장하는 수고와 비용, 유골 확인과 분쟁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낭비 등을 생각하면 우리나라 장묘제도와 묘지관리의 문제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수도권의 피해가 이정도니 전국적으로는 어떻겠는가.현재 1,998만여기의 묘지가 국토의 1%인 996㎢를 차지하고 있고, 해마다 여의도 면적보다 넓은 땅이 묘지로 바뀌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멀지않아 「묘지강산」이 되고 말리라는 절박한 인식을 누구나 갖고 있지만, 막상 자신의 일이 되면 널찍한 유택에 번듯한 봉분을 갖추려는 것이 우리의 의식세계다.
이번의 가슴 아픈 묘지파손 사태를 장묘제도 개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장묘제도 개선을 위해 정부가 오래전부터 화장을 장려한 결과 전국의 화장률이 23%까지 올라갔다. 매장 선호의 인습을 고려해 화장과 매장을 절충한 한국형 가족묘지와 묘지의 효율성을 높인 평토장 도입노력도 긍정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정부는 모든 분묘를 75년동안만 존치시킨 뒤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케 하는 획기적인 장묘 관련법 개정안을 준비중이다. 법과 제도의 개혁에 더하여 지방자치단체들과 사회·문화·종교단체 등이 앞장서야 한다.
이번 묘지 피해에서는 묘지 조성에서부터 관리까지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났고, 특히 시립묘지의 파손이 심했는데, 이점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와 대비가 있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