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대통령이 6일 찰스 카트만 국무부동아태부차관보를 한반도 평화회담 특사로 전격 지명한 것은 그만큼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보다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반영한 것이다. 92년 북한의 핵개발 추진으로 인해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됐을 때 갈루치 핵대사를 임명, 제네바 핵합의를 이끌어냈던 것과 같은 형식으로 이번에는 미 행정부내에 「한반도 문제를 전담하는 창구」를 만든 것이다. 클린턴 대통령은 그동안 중동 보스니아 등 국제적인 분쟁이 발생했을 때 별도의 전담 특사를 임명, 외교적 해결 노력을 집중시켜 왔다.미 행정부내에는 그동안 「한반도 특사」의 실효성을 둘러싼 논의가 있어 왔으나 결국 클린턴 대통령의 의지도 살리면서 실효성도 꾀한다는 절충선을 택한 것 같다. 우선은 카트만 특사에게 한반도 4자회담의 수석대표를 맡기는 등 4자회담 추진을 위한 업무를 주었지만 사실상 남북을 오가며 왕복외교를 하게 되는 등 「한반도 특사」로 격상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현재 중유공급, 경제제재 완화, 식량원조 등을 모두 4자회담과 연계시키고 있기 때문에 4자회담의 추진을 위해 카트만 특사는 자연히 북한과 포괄적인 현안에 관한 논의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북한측으로서도 대미 현안의 창구역할을 맡게 된 카트만 특사와의 대좌를 수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한 미대사관에서 정무참사관, 공사 등을 맡아 두차례나 근무했고 국무부 한국과장을 지낸 카트만 특사는 국무부내의 한국전문가로서 94년 제네바 핵합의 이후 한반도 문제를 맡아왔다.<워싱턴=신재민 특파원>워싱턴=신재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