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월드컵 잔치가 끝났다. 본선 1승마저 신기루로 확인됐다. 이제 남은 것은 책임론. 네덜란드에 진후 차범근 전감독의 전격경질로 한풀 꺾이긴 했지만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나중에라도 본선 16강에 진출하려면 진지하게 책임소재를 가려야 하며, 차 전감독의 경질로 그치거나 『다시 뛰자』는 식으로 끝내서는 안된다.그러나 이번 책임론 분위기 역시 환란(換亂) 추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같다. 각각의 사령탑이었던 차 전감독과 강경식(姜慶植) 전 부총리의 성향이 비슷했던 탓일까. 두 사람 모두 한때는 타칭, 자칭 「해결사」였으며 자신감도 넘쳤다. 독일에서 「차붐」을 일으켰던 차감독이나 「강경식(强硬式)」이란 별명을 얻었던 강 전부총리는 그들만의 리그에선 영웅대접을 받았다. 파트너였던 대표팀 코치, 청와대 경제수석과도 호흡이 척척 맞았다.
하지만 독선과 작전 미스 등 실책이 드러나면서 패전의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책임자로 전락했다. 2002년 월드컵 유치와 세계무역규모 10위 등 흥분과 「펀더맨털」에 가려져 있던 부실의 책임까지 뒤집어 썼다. 차 전감독은 집에 있고, 강 전부총리는 구치소에 수감돼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일부에선 그들이 희생양이라며 동정론을 펴기도 한다. 화풀이식 책임추궁의 반발이다.
두 사람은 분명 책임이 있다. 실책에 관한 한 책임을 져야 한다. 성급한 「화풀이」는 그러나 당장은 몰매를 유도해 놓고 정작 시간이 지나면 『너무 심했나?』라는 머쓱함으로 실책마저 미화시킬 지 모를 일이다.
또한 보신주의 복지부동 등 부작용도 낳는다. 『위험을 감수할 자신이 없습니다. 결과가 뻔하지 않습니까』 구조조정의 「칼」을 휘둘러야 하는 경제부처 관리의 말이다. 화풀이식 책임추궁은 적당주의만 양산한다. 실책에 대한 명확한 책임추궁도, 실책을 거울 삼는 발전도 기대하기 어렵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