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를 95년 6·27선거때와 비교해 보면 보다 핵심적인 분석 포인트는 기초단체장 선거 결과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당별 분포에 따르면 여야간의 우열이나 지역분할 구도는 과거와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전국 232개의 기초단체장중 국민회의 84명, 한나라당 74명, 자민련 29명, 무소속 44명 등이 당선됐다. 모두 230명을 뽑았던 6·27선거때 민주당 84명, 민자당 70명, 자민련 23명, 무소속 53명이 당선된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뜯어 보면 가히 폭발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압권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권의 「독식」현상이다.특히 인천에서는 6·27때 여야가 5대5로 유지하던 균형이 완전히 무너져 국민회의(9명)와 자민련(1명)등 여권이 싹쓸이를 했고 한나라당은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경기지역도 사정은 엇비슷하다. 이 지역은 6·27때 민자당 13명, 민주당 11명, 무소속 7명으로 민자당 우세속에 삼각 균형을 이뤘다. 그러나 이번엔 국민회의 20명 자민련 2명 한나라당 6명 무소속 3명으로 역시 여권의 석권 현상이 두드러졌다. 정권교체에 따른 DJP 공동정권의 위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것이다. 서울의 경우 민주당(23)대 민자당(2)구도가 국민회의와 자민련(19+1)대 한나라당(5)의 구도로 바뀌었을 뿐 별반 차이가 없다.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에서의 승리를 보다 확실하게 뒷받침하는 이러한 결과에 고무돼 여권이 정계개편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러나 각 당의 텃밭에서의 상황은 또다른 역전현상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무소속의 약진속에서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텃밭에서 고전 했다. 반면 6·27이후의 영입상황을 배제하면 한나라당은 오히려 강원·영남지역에서 오히려 무소속 당선자수를 줄였다. 여권표의 이완현상과 야당표의 결집현상이 나타났다고 봐야한다.<고태성 기자>고태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