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용품에 포함 생식기능에 악영향/美 등 기준마련 착수… 국가차원 대책시급『환경호르몬 문제는 21세기에 인류가 풀어야 할 최대 숙제인만큼 국가적 차원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환경호르몬 전문가인 미 미시간대 강경선(康景宣·35) 교수는 25일 『미국이나 일본처럼 우리도 우선 정부 학계 소비자단체 기업 등이 함께 참여하는 조사연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교수는 26일 열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세미나에 참석, 국제적 연구동향을 소개하기 위해 귀국했다.
정식명칭이 「내분비 교란물질(Endocrine Distruptor)」인 환경호르몬은 생체내에서 작용, 수컷의 정자수를 감소시키거나 수컷의 암컷화, 다음세대의 성장억제 등을 초래하는 화학물질. 극소량만으로도 생식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데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거의 모든 제품에 포함돼있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예를 들어 비스페놀A의 경우 플라스틱용기는 물론, 음료캔이나 병마개, 수도관의 내장코팅제, 치과 치료시 쓰이는 아말감 등의 기본성분이다.
93년 서울대 수의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에 유학, 환경호르몬연구에 뛰어든 강교수는 지난해 5월부터는 일본 국립의약품식품위생연구소의 초청연구원으로 환경호르몬이 인체와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테스팅기법을 전수하고 있다. 이 연구소는 최근 컵라면용기 등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고 발표, 「환경호르몬 공포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 강교수는 『무관심도 문제지만 정확한 검증없이 공포감만 확산시키는 것도 큰 문제』라며 『당시 일본에서 비롯된 소동은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에서 비롯된 과잉반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강교수는 『일본이 이를 계기로 100억엔의 예산을 들여 국가차원의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상 분야에서 환경호르몬에 대한 국제적 규제가 몰고올 엄청난 파장을 내다본 것이다. 미국은 2003년까지 규제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아래 검색 및 시험법을 개발중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최근 국제적 규제기준 마련에 나섰다.<이희정 기자>이희정>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