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정부의 부실기업선정 방침에 초긴장하고 있다. 특히 재무구조가 취약해 협조융자를 받았거나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당수 재벌들은 부실판정의 희생양이 되지않을까 노심초사하며 정부의 부실기업 분류기준을 알아보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재계는 어느 그룹이 부실정리대상의 속죄양이 될 것인가를 놓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조조정방안을 이미 발표한 삼성 현대 LG 대우 SK 등과 재무구조가 탄탄한 롯데 동국제강, 일찌감치 구조조정을 마무리한 두산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그룹들이 부실정리의 무풍지대에 있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그룹 대부분이 과도한 부채와 판매부진으로 협조융자를 받았거나 부도내지 법정관리 및 화의를 신청중에 있기 때문이다. 금융기관의 협조융자를 받은 한화 고합 우방 신원 등과 화의 및 법정관리를 신청한 나산 청구 등 10여개 그룹은 이번 정부의 부실기업 정리방침이 그룹장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크게 걱정하고 있다.
재계는 그러나 정부의 전광석화같은 부실기업퇴출작전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애초에 정부와 주거래은행이 구조조정계획과 재무구조 개선약정서를 토대로 회생가능성을 판단한다고 해놓고선 느닷없이 그룹별 빚규모로 부실판정을 하겠다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그렇다면 기업들이 수차례 제출한 구조조정플랜은 사문화된 것이냐』고 반문. 재계는 따라서 그룹들의 구조조정 액션플랜을 지켜본후 단계적으로 부실기업을 퇴출시키는 것이 충격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
한편 기아 한보철강 대농 진로 해태 뉴코아 등도 이번 부실기업 조기퇴출 방침으로 제3자매각 등이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이의춘 기자>이의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