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선때는 3김정치 타파 차원에서 자민련을 공격했지만 대선에서 3김씨중 한 사람이 당선됨으로써 상황이 달라졌다』오장섭(吳長燮) 의원은 최근 한나라당에서 자민련으로 당적을 옮긴데 대해 「상황변화론」으로 변명했다. 『상황이 바뀌면 또 당을 바꿀 것이냐』는 질문에는 매우 곤혹스런 표정을 지었다. 국민회의에 입당한 인천과 경기출신의원 5명의 입당변도 앞뒤가 맞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새정부 출범이후 야당에서 여당으로 「둥지」를 바꾼 의원은 모두 10명. 당적이동의 대탈출이 시작된 것이다. 이른바 「철새정치」에 대한 따가운 시선에도 불구, 여권이 「금배지」 영입에 적극 나서는 이유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과반 의석을 가진 한나라당이 사사건건 새정부의 발목을 잡는 상황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게 여권의 호소이다.
그러나 문제는 의원들의 당적변경에 대한 해명이 너무 궁색하다는 점이다. 자민련에서 한나라당으로 갔다가 4일 자민련으로 다시 되돌아온 이의익(李義翊) 의원은 『한나라당이 대구시장후보 공천약속을 지키지 않아 떠나게 됐다』고 말했다.
거꾸로 96년 15대총선이후 대선전까지 20여명의 당시 야당의원이 줄줄이 신한국당으로 옮겨갔다. 무소속이었던 백승홍(白承弘) 의원은 여당에 가지 않겠다고 공증까지 했으나 결국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의원들이 승복할 수 없는 이유를 들어가며 변신을 합리화하는 것을 보면 우리정치 현실에 대한 서글픔이 느껴진다. 특히 정치의 지역할거구도가 확대재생산 되고 있는 것은 안타깝기만 하다. 「지역민심」을 이유로 당적을 자주 옮기는 불행한 정치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는 여야 모두 전국정당이 되어야 한다. 지역감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선거제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할 때가 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