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이후 내내 구설수에 올랐던 주양자(朱良子) 보건복지부 장관의 거취문제는 결국 매끄럽지 않은 모양새로 일단락 됐다. 열화와 같은 여론의 질타에도 끈질기게 버티던 주장관은 27일 오후 김종필(金鍾泌) 총리서리의 전격 경질통보로 끝내 중도하차하게 됐다. 다만 형식이 자진사퇴가 될지, 해임이 될지만 남은 상태일 뿐 더이상 장관직 수행은 불가능하게 됐다.재산증식과정에 대한 여러차례 납득할 수 없는 해명으로 오히려 의혹을 키웠던 주장관은 뒷마무리에서도 개운치 않은 맛을 남겼다. 그동안 「흔들림없는 」 태도를 보여준 배짱장관답게 당당한 입장표명을 기대했던 기자들은 27일 밤 달아나듯 청사를 빠져나간 그에게 또다시 실망감을 맛보았다.
어쨌든 주장관 개인은 이번 일로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그는 오랫동안 의료계를 중심으로 한 왕성한 활동으로 우리사회의 많지않은 「여류」로서 나름대로 상당한 평가를 받아 왔다. 그의 재산증식과정이 문제되기전까지만 해도 언론의 평가는 호의적인 쪽에 가까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렇게 보자면 그가 그토록 집착했던 장관직이 도리어 일생 쌓아온 평판을 한순간에 무너뜨린 화근이 된 셈이다.
주장관이상으로 상처를 입은 곳은 보건복지부다. 주장관 문제가 불거져 나왔을때부터 복지부는 문민정부의 「박양실(朴孃實) 악몽」을 상기하며 사태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주장관이 아무리 『흔들림없이 일하라』고 지시한들 밑동으로부터 동요하고 있는 직원들에게 의욕적인 업무추진은 애당초 기대하기 힘든 것이었다. 더구나 주장관의 퇴임이후에도 제청권자가 애매한 상황이어서 복지부는 상당기간 차관이 지휘하는 「비상체제」로 운영돼야 할 판이다.
복지부는 노동부와 더불어 당장 화급한 실업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부서이다. 결국 잘못된 장관 인선의 가장 큰 피해자는 국민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