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의 재산은 어느 정도가 적정선일까. 우문(愚問)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은 나름대로의 「답」을 갖고 있다. 물론 정확한 수치가 아니라 납득할만한 「상식선」이다.『15년 월급쟁이 생활에도 아직 집 한채 장만하지 못했는데 어떻게 자녀들에게 억대 아파트에 콘도회원권까지 사 줄 수 있느냐』 24일 신문사에는 이런 내용의 항의전화가 하루종일 빗발쳤다.
많은 사람들은 특히 『솔직하게 공개한 사람만 몰매를 맞고 교묘하게 숨긴 사람은 그냥 넘어가는 식의 「통과의례식」재산공개를 계속해야 하느냐』며 누락·축소신고 부분을 지적했다. 또 『신규등록자 52명 중 귀금속을 소유한 사람이 고작 6명 뿐이겠느냐』며 철저한 실사를 통한 검증을 요구했다. 재산규모보다는 축재과정을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는 지적도 많았다.
그러나 당사자들의 해명은 이같은 인식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부동산갑부로 확인된 모 공직자는 『80년대 너도나도 부동산 재테크에 나설 때 가족이 부업을 해서 번 돈으로 조금씩 사둔 땅』이라며 『상식선에서 이루어진 재테크』라고 밝혔다. 수십억대의 재력가로 확인된 또다른 공직자는 『공직자 재산이라면 무조건 색안경을 끼고 보는 잘못된 여론이 문제』라고 오히려 답답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물론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상적인 재테크는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그렇다하더라도 공직자에게는 국민들이 요구하는 도덕적 기대치가 있다. 재벌의 재산은 놓아두고 굳이 공직자의 재산만을 공개토록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 시민은 『비리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필부(匹夫)의 이재(理財)」로 재산을 늘렸음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공직자 한명쯤은 기대했었다』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