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초·재선의원들이 대여관계에서 초강공을 구사해온 것은 그들의 정치생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대부분 수도권 출신이다. 다음 총선에서 DJP연대가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면 그들중에 정치적 목숨을 보전할 사람이 거의 없다. 지난 대선 득표결과를 보자. 그들의 지역구에서 김대중(金大中) 후보는 4·11총선 당시 그들이 얻었던 표보다 적게는 5%포인트, 심한 곳은 20%포인트를 더 얻었다. 당시 수도권에서 5%이내 박빙의 차로 승부가 갈렸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들이 느끼는 위기감을 이해할만 하다.요즘의 정국파행 회오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그들의 이 위기감이다. DJP공동정권의 기반을 강화하려는 여권과 그것을 깨야 정치적 생존을 도모할 수 있는 세력의 정면충돌. 이것이 지금 벌어지고있는 정치파행의 본질이다. 여기에는 두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자신들의 정치적 생존을 위해 공동정권의 안정적인 국정운영 전제인 DJP연대강화를 저지하는 것이 과연 국가적 국민적 차원에서 정당한 것인가이다. 또 하나는 자신들의 정권기반강화를 위해 연합공천의 이름으로 정치상대를 말살해도 되느냐의 문제다.
이를 요즘 유행하는 시장의 논리로 접근해보면 어떨까. 정치판은 궁극적으로 유권자의 투표라는 정치구매행위로 승부가 결판나는 정치시장이며 DJP연대는 정치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한 「정당 M&A」라고 할 수있다. 그런면에서 한나라당 초·재선의원들이 정치적 시장원리에 입각하지 않는 투쟁방식을 구사한다면 결국 그들은 정치시장에서 심판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DJP의 정당 M&A가 정치시장에서 공정한 게임의 룰을 지키고 있느냐는 문제가 남기 때문이다. DJP의 연대는 본질적으로 지역연합이고 그것은 유권자와 정치인 모두에게 정당한 선택의 기회를 박탈하는 파괴력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시장질서를 위협하고 공정거래를 방해하는 정치적 독과점일 수도 있다. 우리는 지금 공정한 정치시장질서의 확립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것만이 정치파행을 근원적으로 극복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