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小野大 유지” 전략적 후퇴인듯여권이 급류를 타는듯한 정계개편 흐름에 스스로 제동을 걸고 나왔다. 『정치구도가 현상대로 갈 수는 없다』는 당위론에는 공감하면서도 정계개편의 분위기가 무르익기 전에 표면화 해서는 안된다는 현실론이 힘을 얻고있다.
일종의 속도조절인 셈이다. 이같은 언급은 국민회의 김상현(金相賢) 고문으로부터 나왔다. 김고문은 30일 기자간담회를 자청, 『여소야대 구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고문은 구체적으로 『29일 박태준(朴泰俊) 자민련총재와 만나 이러한 원칙에 공감했다』고 소개했다. 김고문이 「여소야대 현상유지」를 언급하자, 그 발언이 여권 핵심부와 교감아래 나온 발언이냐를 놓고 논란이 있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의 한 고위인사는 『김고문의 말은 대통령의 뜻』이라고 확인했다. 나아가 『그동안의 혼선은 김고문의 말로 일단 정리됐다』는 부연설명까지 뒤따랐다.
지난 주말과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조세형(趙世衡) 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이 『정계개편을 바라는 국민여론이 있다』고 말했고 박태준 총재가 『국회는 수(數)가 중요하다』고 말했을 때와는 현격한 편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상유지론」은 여권의 진심이라기 보다는 전략적 후퇴라는게 정설이다. 어찌보면 날카로운 반응을 보이는 야당을 고려한 수사(修辭)에 불과할 수도 있다. 여권은 조급한 개편시도가 정국경색을 초래,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한나라당 민주계의원들, 국민신당 등을 국정에 참여시키는 「대연정」의 구상도 완전히 성숙하기까지는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재·보선,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정계개편에 매달릴 경우 역풍이 불어 선거결과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여권은 일단 정계개편의 시기를 지방선거 이후로 설정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 이전에 한나라당이 전당대회 이후 분열하는 경우를 상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조기 정계개편은 불가피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 추진하되, 인위적으로 시도하지는 않겠다는 것이 여권 핵심부의 생각으로 풀이된다. 청와대의 한 고위인사가 『지방선거 이후 지역구도가 타파되는등 정치판에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데서도 이같은 전략이 엿보인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