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부도사실이 전해진 이후 대학가는 좀처럼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학관계자는 『단국대 같은 사태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할 수 있는 대학은 아무데도 없다』는 말로 충격의 강도를 대변했다.주무당국인 교육부도 예외는 아니다. 사상 초유의 대학부도사태에 따른 대책마련과 각 대학 재정상태 점검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예상을 했지만 이처럼 빨리 현실화할지는 몰랐다』는 한 간부의 말에도 당혹감이 짙게 배어있다.
단국대에는 며칠째 『수업차질이 없느냐』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문의전화가 빗발쳐 업무를 보지 못할 정도다.
그러나 대학 부도사태는 사실 충분히 예견된 것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IMF라는 복병이 그 시기를 앞당겼을 뿐이지 외형 확장을 위한 방만한 차입경영의 위험성이 지적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학의 경쟁이 질적 개선보다는 외형적인 규모키우기로 변질되면서 천문학적인 빚더미에 올라선 대학이 부지기수다. 수요판단도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가의 기자재를 도입해 창고에 처박아두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여기다 재단전입금 확충 등 자체 재정확대방안을 게을리 한채 학생들의 등록금에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재정이 극도로 부실화했다. 국내 사립대 재정의 등록금 의존율이 평균 65%에 달하는 반면 재단전입금 비율은 평균 25%에 불과하다는 통계가 실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등록금 수입이 생기는 학기초에는 재정에 여유가 생기지만 학기말이 되면 궁핍해 진다는 말이 당연시되는 게 우리 대학의 현주소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뒤늦게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결의하고 나섰지만 정말로 뼈를 깎는 실천과 인식의 전환이 수반되지 않는 한 단국대 사태의 재발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 교육계의 한결같은 충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