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외 신인도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사실은 무엇보다 희망적인 신호이다. 세계적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B+에서 BB+로 3단계 상향조정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에는 무디스와 피치IBCA도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같은 수준으로 올린바 있어 권위있는 3대 국제신용평가기관이 한국의 신용도평가에 일단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셈이다. 뉴욕외채협상의 원만한 타결과 IMF프로그램의 성실한 이행자세등이 감안된 결과로 알려진다.
당면한 외환위기의 극복은 정상적인 국제 금융거래의 회복을 통한 외자의 원활한 조달에 달려 있고 이의 기초여건이 바로 우리의 대외신용에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노력 여하에 따라 IMF사태의 조기 극복도 가능하다는 기대를 낳는다.
그러나 S&P가 이번에 조정한 우리의 신용등급 역시 여전히 투자부적격의 이른바 「정크 본드」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투자적격으로 가기 직전단계에 아직 묶여 있다. S&P는 이번 조정에 이은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유동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 이는 당분간 투자적격으로 신용등급을 올리지 않는 대신 국내의 외환보유고 상황, 금융시스템의 안정, 개혁조치 이행등을 관찰하겠다는 뜻이다. 사태를 적당히 얼버무려 넘겨 국가 신용을 회복할 수는 없다는 상황인식을 요구한다.
외환위기이전 상황으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 할 길은 멀고도 멀다. S&P만 하더라도 지난해 10월 이후 두달새 AA―(우량)에서 B+(지급불능 가능성 높음)로 무려 10단계나 낮춘 뒤 이번에 겨우 3단계를 올린 것이다.
시험대에 올라 있는 것은 우리의 구조개혁 의지이다. 국제사회는 우리가 고통스런 내부개혁의 대가를 치를 수 있는가를 아직은 지켜보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