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는 했지만 현실무시한 요구” 재계는 김대중 대통령당선자가 30대그룹 총수들과 회동을 통해 밝힌 회장실 기획실 권한축소 등 5개항의 구조조정안을 재벌 해체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재계가 가장 당혹스러워하는 부분은 회장실축소 등 총수체제에 대한 전면수술이다. 특히 이달말로 다가온 주총시즌으로 시한을 정해 비상이 걸린 상태. 합의는 했지만 현실적으로 앞뒤가 맞지않는 요구라는 불만이 높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신정권측이 요구하는 사업구조조정, 상호지급보증해소, 결합재무제표도입 준비작업등은 그룹총괄조직에서밖에 할 수 없는데 이를 해체하면 어떻게 구조조정을 추진하라는 말이냐』고 반문했다.
이에따라 각 그룹들은 갑작스런 재벌체제 해체의 충격을 줄이기위한 순수 지주회사도입 등을 강력히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말부터 계열사 주총이 몰리는 현대그룹은 당장 정몽구 회장과 정몽헌 회장이 각각 현대정공, 현대전자 등 몇개 계열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지만 추가로 대표이사직을 배분할 경우 두 회장의 위상문제가 걸려 고심하고 있다.
삼성은 현재 계열사 대표이사를 전혀 맡지 않고 있는 이건희 회장에게 삼성전자, 삼성생명같은 주력계열사의 대표이사를 맡기는 방안을 검토중이지만 선정작업이 쉽지 않아 고민이다. 재계에서 비서실의 본산으로 불리워지는 삼성비서실의 경우 이회장과 그룹의 의존도가 워낙 큰 상태여서 그 처리가 재계 전체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LG도 80여명의 인력을 갖추고 있는 회장실 처리문제와 현재 LG화학, LG전자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구본무 회장의 대표이사 추가등재문제를 놓고 고민하면서 관련채널을 동원, 여권의 진의파악에 나서고 있다.
대우 SK 그룹 등 다른 기업들도 회장실 기조실 등의 정리문제와 총수들의 계열사 대표이사 등재문제를 검토하고 있지만 뾰족한 방법이 없기는 마찬가지.
재계의 한 관계자는 『신정권이 요구하는 것은 소유와 경영의 분리, 선단식 경영해체, 책임경영의 안착등 모두 재벌해체를 겨냥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체질개선도 좋지만 적대적 인수합병 허용, 고금리행진등으로 생존마저 위협받는 기업에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바꾸라고 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이재열 기자>이재열>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