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시민 「반지」만 쌓이고 부유층 「골드바」는 안보여「금 안심하고 내놓아도 됩니다」
경제위기극복과 외채상환을 위한 범국민적 금모으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정작 「덩어리 금」은 나오지 않고 있다. 보통시민들이 내놓는 금가락지 등 「소품」들만 쌓일 뿐, 금두꺼비 금송아지 금괴 등을 소유한 계층은 주위의 눈을 의식하거나 신분노출을 우려해 몸을 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금모으기 운동 관계자들은 『범국민적 공감대 위에서 운동을 전개하는 것인 만큼 이미 신원보호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마련돼 있다』며 『따라서 신원노출이나 세무추적 등에 대한 일부의 우려는 전혀 부질없는 것』이라고 적극적인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일보사·「외채상환 금모으기 범국민운동」과 함께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농협의 김국환 문화홍보과장은 『타인명의 계좌로 금값을 받을 수 있고 무기명 장기채권으로도 받을 수 있어 절대 신원이 노출되지 않는다』며 『더구나 일반창구를 이용하기가 거북한 사람들을 위해서는 개인접수도 받고, 원할 경우 출장접수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세청 등 관계부처도 금모으기에 접수된 금값에 대해서는 자금추적을 하지 않고 소득세도 면제해주기로 했다. 국세청 관계자는 『운동이 시작될 때부터 자금추적이나 세금부과를 하지 않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며 『이같은 조치도 역시 국민적 합의가 전제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덩어리 금」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비실명거래 방식을 도입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연말 금모으기운동을 처음 제안했던 서울지검 이종왕 형사1부장은 『국내 퇴장금이 2백70억∼3백억달러어치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나 금을 축재수단으로 여기는 사람들때문에 아직 10분의 1도 나오지 않고 있다』며 『현재의 위탁판매형식으로는 신원노출의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키 어려운 만큼 금은방을 통해서도 금을 구입하는 방안 등이 강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외채상환 금모으기 범국민운동」 이성옥 사무총장은 『금모으기 운동은 온 국민이 십시일반으로 힘을 합쳐 어려운 국가경제를 살리자는 취지』라며 『국민들도 금값을 당장 현금으로 보상받기보다는 가능하면 3년만기 국채로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김동국·박일근 기자>김동국·박일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