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금 끊겨 체임에 직원들 속속전직 존립위기경기가 얼어붙으면서 NGO들이 혹독한 겨울을 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내로라하는 단체들도 그나마 박봉인 직원들의 월급을 몇달째 반으로 감봉하거나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또 직원들이 대대적인 전직 대열에 합류, 개점휴업 상태인 단체도 속출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이같이 존폐의 위기에 처한 이유는 연초부터 시작된 불경기로 기업후원금과 프로젝트가 끊겨 재정난이 가중된데다 IMF구제금융이후에는 회원들의 회비마저 걷히지 않기 때문이다.
회원 4만6,000여명, 33개의 지역조직을 갖춘 환경련은 상근자들의 월급을 3개월째 반으로 줄여 지급했다. 30세 직원(활동가)의 경우, 월급이 40만원에도 못미쳐 생활비는 고사하고 현장을 돌아다니는 교통비도 부족한 실정이다.
환경련 이치범 사무처장은 『회비수입은 월 4,000만원이 고작인데 운영비는 인건비를 포함, 1억5,000여만원 가량이 소요돼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생활고 등을 이유로 활동가들은 속속 NGO를 떠나고 있다. 연초 65명이던 환경련의 유급직원은 12월 현재 44명으로 자연스럽게 감원됐다.
지난 4월 김현철씨 관련 비디오 은폐파동 때부터 사정이 어려워진 경실련의 사정은 더욱 딱하다. 60여명이건 유급직원이 35명으로 절반으로 줄었지만 2개월치 월급을 못주고 있다. 이대영 기획실장은 『올들어 매달 2,600만원정도의 적자를 보고 있다』며 『생계 때문에 떠나는 뜻있는 활동가들을 붙잡을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한 수익사업도 여의치 않다. 참여민주시민연대는 지난달 개최한 음악회에서 겨우「본전」을 건졌지만 내년 1월15일까지 공연할 연극「파리의 택시운전사」는 티킷판매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참여연대 이대훈 합동처장은 『연말이라 그동안 빌어쓴 돈과 각종 인쇄비 등을 청산해야 하는데 IMF한파 때문에 2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내년에는 각 단체들이 사무실임대료마저 걱정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정난이 가속화하면서 시민단체 내부에서는 방만한 운영과 중복사업에 대한 반성도 제기되고 있다. 경실련 이실장은 『시민단체들도 양적 팽창을 탈피하고 성격이 비슷한 단체끼리 사업을 공유하는등 운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정덕상 기자>정덕상>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