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이 경영형태 문제삼아 “협상 어떻게 됐나” 촉각 곤두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 요건들이 윤곽을 드러냄에 따라 재계가 사상초유의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금융빅뱅이 시작되면서 금리는 치솟고 저성장정책으로 내수가 위축되는 최악의 경영여건이 예상되는데다 IMF가 재벌체제에 대해서도 근본적 수술을 요구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셸 캉드쉬 IMF총재가 1일 한국 재벌구조에 대한 수술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대기업들은 2일 정보팀을 중심으로 IMF측은 물론 정부측에 협상의 진전상황을 체크하느라 촉각을 곤두세웠다.
IMF측은 실제로 이번 협상에서 재벌그룹에 대한 연결재무재표 의무화와 상호지급보증 금지 등 강도높은 반재벌 정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정부측도 IMF의 요구를 등에 업고 이번 기회에 손대기 어려웠던 재벌길들이기를 고려한다는 소문도 있다. 이래저래 이번에는 재계에 대한 구조적인 메스를 피하기 어려운 분위기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양자간의 협상결과 수위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재벌구조에 대한 과감한 수술이 있을 것은 분명해보인다』면서 『기업들은 최악의 사태까지 감안, 내부적으로 준비하는 한편 대기업이 지닌 경쟁력이 경제난극복에 득이 된다는 논리를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IMF가 문제삼고있는 재벌의 폐해는 기업경영의 불투명성. 구체적인 사례는 적시하지않고 포괄적으로 불투명성을 물고 늘어지는 상황이지만 이를 통해 대기업의 계열사간 상호지급보증, 내부자거래관행, 과도한 차입경영 그리고 총수의 독단적인 경영방식을 문제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는 IMF가 요구하는 것이 재계를 그동안 지탱해온 재벌체제의 해체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우려하고 있다.
재계는 IMF가 전례가 없이 기업의 경영형태자체를 문제삼고 있는 것은 세계 시장 곳곳에서 공격적 경영을 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기를 누르기위한 것이라는 경계의 시각도 강하다. 자동차 조선 반도체 화학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기업들이 바로 재벌들이어서 반재벌 정책은 곧바로 한국의 주력산업을 무력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따라 재계는 IMF의 숨은 의도를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는 한편 만약에 있을 외부의 수술에 대한 내부적인 대응책 마련을 부심하고 있다.<이재열 기자>이재열>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