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화의신청 이후 「감정적」이라고 느껴질 만큼 강경해졌다. 채권유예 등을 통한 회생방식을 포기하고 법원으로 달려갔으니 정부에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말라는 식이다.강경식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은 25일 『한때 기아자동차만이라도 회생했으면 했으나 화의신청으로 (정부가) 개입할 여지도 수단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강부총리는 이날 상오 임창렬 통상산업부장관 김인호 청와대경제수석 등과 회동한 것과 관련, 『내 생각을 충분히 얘기했다』고 말했다. 기아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이나 대외채무에 대한 보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재경원 고위당국자도 『해외에서는 기아가 사실상 부도난 것으로 간주돼 대외신용도에도 이미 반영됐다』고 언급, 기아사태의 처리방향이 부도후 법정관리로 기울었음을 시사했다.
한편 정부는 이러한 강경입장속에 『화의신청에 대한 수용여부는 채권금융기관 각자가 자율적으로 알아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대한 책임도 각 금융기관이 져야 한다』고 강조, 결과적으로 채권단의 발걸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정희경 기자>정희경>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