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채권은행과 기아그룹측 사이에 기아그룹 회생방안을 둘러싼 대립에서 이제 공은 기아측에 넘어간 것 같다. 기아그룹노사는 정부·채권은행의 최후통첩을 수용하든가 아니면 성공 여부가 불투명한 독자적인 타개책을 찾아야 한다. 기아측으로서는 어떠한 선택이든 순탄치 않을 것이다.이번 기아그룹 회생방안을 놓고 당사자인 기아그룹측과 정부·채권은행 사이에 커다란 이해대립이 있어 왔고 이 때문에 결국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처리방안이 나온 것은 국민경제의 차원에서 극히 바람직스럽지 못한 것이다.
양측의 대립은 이해관계의 상충과 입장차이에 상호간의 불신이 겹쳐 악화,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이다. 그런데 강경식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 『기아의 제3자 인수는 현실적으로도 현정부에서 추진되기 어려울 것이다』고 공언한 이상 기아측에서도 합리적인 화답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정부와 채권은행은 기아측에 김선홍 회장의 경영권포기각서와 인원감축에 대한 노조동의서 제출을 집요하게 요구해 왔는데 기아측은 이러한 요구를 기아그룹을 제3자에게 인수시키기 위한 정지작업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반대해 왔던 것이다. 기아그룹노사가 그들의 현행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명분찾기에서 의도적으로 제3자인수 음모설을 부각시켰다고 할 수도 있으나 그간 자동차구조조정보고서 유출사건 등으로 봐 개연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치부할 일도 아닌 것 같다.
기아그룹노사는 엄연한 현실을 통찰해야 한다. 채권은행단은 『기아그룹이 경영권 포기각서와 임원감축에 대한 노조동의서를 제출할 경우 기아자동차 등 5개사에 1,881억원의 자금을 곧바로 지원할 준비를 끝내놓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한 『경영권 포기각서 제출이 당장의 경영진 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자구계획의 성실한 이행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고 했다.
물론 기아그룹으로서는 요구조건 이행이 결코 용이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미국의 크라이슬러 등 3대 자동차 경영혁신이 보여주듯이 실패한 회장과 그 체제는 대체돼야 한다. 노조도 기아의 현행체제로는 자력갱생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기아그룹의 자력갱생에서 기아그룹과 그들의 현 노사체제는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