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성 질문 남발 ‘토론없는 토론회’ 전락/공선협 등 “특정주제로 능력 비교검증” 주장30일 끝난 방송 3사 공동주최 여야 3당 대선후보의 TV토론회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한마디로 이번 토론회는 함량미달이었다는 얘기가 주류다. 이에따라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후보간 합동토론회를 대안으로 집중 거론하고 나섰다. 「후보자질의 상대평가」라는 토론회의 근본취지를 살리는 데에는 합동토론회가 최선이라는 공감대가 형성 돼가고 있는 것이다.
이번 방송 3사 토론회는 나름대로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던 점도 부인할 수 없다. 미디어선거의 장을 사실상 본격 개막시켰고 토론회 질문이 정책문제에 집중돼 토론회의 본 취지에 나름대로 충실했다는 평가다.
그러나 『토론회에 토론이 없었다』는 지적처럼 이번 행사는 실효성 자체를 의심받을 정도로 부정적인 면이 적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질문내용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거나 추상적이어서 후보의 정책능력을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검증하는데는 미흡했다. 이회창 신한국당후보의 아들 병역문제에 대해 한 차례의 추가질문도 없었던 게 대표적인 예이다. 서울 공선협 TV토론 시민평가위원회는 지난 28, 29일 두 차례의 토론회 평가보고서에서 『신한국당 이대표의 경우 모두 56회 질문중 1회성이 40회(71.7%)였고, 자민련 김종필 후보의 경우는 63.6%가 1회성 질문이었다』고 분석했다.
질문자들이 후보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던져 결과적으로 나중에 출연한 후보가 앞서 출연한 후보를 공격할 기회를 주게된 점도 문제점으로 거론 됐다. 질문이 국민적 관심도 또는 국가 정책의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됐는지도 의문이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해 공선협 등 시민단체들은 2차 TV토론회부터는 특별한 주제에 촛점을 맞춘 후보간 합동토론회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통해 심층토론, 후보 능력의 비교검증 등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토론방식으로는 특정주제와 관련한 질문지를 사전에 마련해 놓고 후보들이 현장에서 추첨, 제한시간내에 답변 한뒤 이에 대해 다른 후보들이 토론을 하도록 하는 방안 등이 거론 되고 있다. 또 매 토론회마다 주제를 달리해 패널리스트들을 관련 전문가중에서 선발, 질문토록 하고 세명의 후보들이 타후보의 의견에 대해 토론을 벌이도록 하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여야 일각에서는 『선거기간전 합동토론회는 선거법상 사전선거운동에 해당된다』며 법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따라 합동토론회대신 기존의 1명 토론방식을 유지하되 토론회마다 주제를 달리해 후보들의 다양한 정책능력을 깊이있게 검증해야 한다는 절충적인 견해도 나오고 있다.<신효섭 기자>신효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