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주자 “김심 앞에 동렬”/여 경선전 질적으로 변화신한국당 정발협이 2일 특정후보 지지를 포기하기로 결정했다는 사실은 경선구도의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민주·민정계의 계파대립, 현 정권세력과 구여권세력의 승부라는 적대적 대결양상이 누그러지고 주자간 경쟁이라는 측면이 부각되게 된 것이다.
사실 그동안 경선구도는 이회창 고문 대 정발협, 민정계 대 민주계의 대립양상으로 전개됐다. 당안팎의 시선도 온통 정발협이 어느 주자를 미느냐에 쏠려 있었다. 그러나 정발협이 특정후보 지지를 포기하고 나라회도 이에 화답, 즉각적으로 동일한 결정을 내리면서 「전부 아니면 전무」식의 경선구도는 피할 수 있게 됐다.
정발협이 집단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판세는 인위적으로 변형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회창 고문이 당분간 선두주자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됐고 정발협의 지원으로 일거에 판세를 역전시키려 했던 주자들은 타격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정발협의 지지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이한동·박찬종 고문이나 김덕룡 의원은 정발협의 다른 주자 선택으로 초장에 기세가 꺾이는 상황을 막을 수 있게 됐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판세의 변수가 각 주자들의 역량으로 한정됐다고 볼 수 있다. 합동연설회에서 어느 주자가 두각을 나타내느냐, 어느 주자가 조직을 잘 가동해 대의원 표를 엮어내느냐, 주자들의 연대가 어떻게 이루어지느냐가 경선판세의 변동요인이 되는 것이다. 물론 정발협의 일부 인사들이 막후에서 특정후보를 지지할 수도 있다. 실제 온산(최형우 고문)계의 상당수 인사들이 이수성 고문의 지지대열에 합류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정발협 인사들의 개별적인 지지는 큰 파장을 일으키기 힘들다는 게 중론이다.
이처럼 정발협이 경선구도의 질적 변화를 초래한 결정을 전격적으로 내린 배경에는 청와대의 의중이 있다는게 정설이다. 청와대가 1일 대표서리체제를 선택, 이회창 고문측의 대행체제론을 들어주지 않고 2일에는 정발협의 「종언」을 유도한 것은 공정경선, 당의 단합을 위한 고육지책이자 고도의 판단으로 풀이할 수 있다. 김심이 이회창 고문도, 반이도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해 모든 주자들을 동렬에 세웠다는 것이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