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탈당인물 무게따라 “파란”/JP 나서면 시너지효과 적어 DJ엔 “어부지리”/박찬종·이수성땐 지역기반 바탕 상당한 파괴력「대권연구」시리즈 세번째 테마는 여권의 일부세력이 이탈해 자민련과 보수연합을 형성, 여당후보 및 DJ(김대중 국민회의총재)와 3파전을 벌이는 경우다. 이 시나리오는 신한국당의 분열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어떤 형태의 연합이 이루어지든 여당에는 득될 게 없다.
문제는 신한국당을 뛰쳐나온 후보의 자생력과 파괴력, 자민련과 연대했을 때 발휘할 수 있는 상승효과가 어느 정도냐인데, 이 3가지 면에서 파란의 주역이 될 수 있는 인물은 이회창 대표와 이수성 박찬종 이한동 고문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전제가 붙는다. 탈당세력이 그만한 명분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경선과정이 객관적이고 공정하다고 인정된다면 탈당 즉시 그 후보에 대한 지지도는 급락할 수 밖에 없게 되고, 연대의 의미도 크게 반감된다.
다음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이탈세력이 어떤 형태로 자민련과 연합하느냐이다. 후보로 누구를 내세울 지, 그 후보가 지니는 지역적 기반이 어떠한 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는데, 일단 JP(김종필 자민련총재)가 나설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
JP가 보수연합 대표주자로 나서는 경우의 시너지 효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JP가 기존에 확보하고 있는 표에 일부 여당 이탈표가 더해지는 정도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데, 이는 JP에 대한 2인자로서의 이미지와 일정한 거부감이 여당 이탈표에 억제요인으로 작용하리라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다. 탈당 인사가 탄탄한 지역기반을 갖추고 있는 경우라 해도 JP 「밑으로」 들어갈 경우 큰 손실없이 표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JP이외의 인물이 보수연합의 후보로 나설 경우는 문제가 한층 복잡해진다. 여당 이탈세력은 설사 나름의 탈당 명분이 있다해도 상당한 감표를 각오해야 하는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미우나 고우나 표를 몰아주는 공고한 지역적 기반을 갖는 길 뿐이다.
이 기준에서 본다면 지역적 기반이 JP와 겹치는 이회창 대표는 매력적인 후보감이 되지는 못한다. 오히려 PK(부산·경남)에 뿌리를 둔 박찬종 고문, TK(대구·경북)연고권을 가진 이수성 고문, 중부권 대표성을 지닌 이한동 고문이 더 나은 선택대상이 된다. 여당내의 연합이어서 단순비교는 힘들지만, JP가 YS를 밀었던 14대 대선은 지역결합의 중요성을 웅변해준다.
당시 YS는 부산(73.3%) 대구(59.6%) 경북(64.7%) 경남(72.3%)의 몰표에 충남(36.9%) 충북(38.3%) 표를 합해 190여만표 차로 DJ를 누를 수 있었다.
세사람 가운데서도 특히 박찬종 고문을 후보로 내세우는 경우 보수연합세력의 집권 가능성은 다른 어떤 선택지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민련내 충청표와 TK표에 PK표까지 합쳐지면 설사 일부 누수현상이 생긴다해도 승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표는 확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선 반론도 있다. 여당후보로 이회창 대표가 나올 경우, 다른 후보를 미는 JP의 충청표를 상당부분 뺏어갈 수 있어 연합세력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수성 고문을 후보로 옹립할 경우는 PK표의 향배가 관건인데, PK가 여당후보로 기울게 되면 누구도 승리를 장담하기 힘든 치열한 3파전이 벌어질 공산이 크다. 이한동 고문의 경우는 중부권을 중심으로 보수성향의 표를 잠식하는 등 묘한 형태로 여기저기서 여당표를 갉아가면 오히려 DJ가 어부지리를 취할 개연성이 적지 않다. JP가 보수연합세력의 대표주자로 나와 전통적인 여당표를 빼앗아 가는 경우와 더불어 DJ로서는 손쉬운 싸움을 벌일 수 있는 케이스다.<홍희곤 기자>홍희곤>
◎여 시각/“보수대연합 가능성 적다”/“종속적 연대보다 잔류하는게 나을 것”
여권에서 일부 세력이 이탈해 자민련과 연대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나 될까. 그리고 대상자로 거론되는 인물은 누구누구일까.
현재 여권내에서 자민련과의 연대 가능성이 가장 자주 거론되는 인사는 이한동 고문이다. 경선에서의 승리 가능성이 「어중간」한데다 구여권세력 결집이라는 나름의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거론되는 인사는 박찬종 고문이다. 여론조사상의 높은 대중인기도와 가장 「완벽한」 형태의 지역결합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그가 보수연합의 색채에 들어맞느냐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않고, 탈당한다 해도 단독출마쪽 개연성이 더 높다는 것이 일반적 분석이다.
이수성 고문도 TK 대연합 차원에서 유력한 대상자로 지목된다. 자민련내 TK와 TK대표성을 지닌 박태준 전 포철 회장이 힘을 합해 후보로 추대할 경우 대단한 파괴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그 근거다.
이회창 대표의 탈당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심 개입으로 불공정 경선이 이루어졌을 경우 당을 박차고 나갈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대표 역시 박고문과 마찬가지로 색깔과 성향에서 보수연합보다는 단독출마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게 중론이다. 요컨대 보수대연합은 그 어떤 경우든 실현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봐야 한다. 92년 대선때 국민당 정주영 후보와 연대한 이종찬씨의 경우에서 보듯 종속적 연대는 잔류보다 못하다는 것이 과거의 교훈이기 때문이다.<홍희곤 기자>홍희곤>
◎야 시각/“여 누구든지 이탈 가능성”/“캐스팅 보트 쥔 JP 대단한 위력” 예상
「JP와 여권서 이탈한 후보와의 제휴, 보수대연합 후보 탄생」
비록 시나리오이긴 하지만 상당히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구도이다. 실제로 김대중 국민회의총재와 김종필 자민련 총재간 「DJP단일화」전망이 회의적일수록 JP와 여권후보들간의 「짝짓기식」시나리오가 무성한 게 사실이다.
JP라는 인물과 그가 주장하는 내각제라는 권력구조가 연합과 연대엔 가장 무난하거니와 여권후보들 가운데도 경선에서 탈락할 경우 차선책으로 JP와의 연대를 모색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유력한 여권의 대선주자들중 누구를 JP와 연결시키더라도 별로 어색하지 않다는 점이다.
예컨대 JP와 여권후보간의 「연대설」에는 신한국당 이회창 대표를 비롯해 이수성 이홍구 이한동 김윤환 고문 등이 모두 거명되고 있다. 최형우 고문과 김덕룡 의원 등 민주계도 경우에 따라서는 배제할 수 없다. 여권인사는 아니라 하더라도 박태준 전 포철 회장의 경우도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유력한 대상자중 한사람이다.
이렇게 해서 내각제·보수연합 세력이 결집할 경우 그 대표주자로 누굴 내세울지는 당선가능성 등을 고려해 타협이 이루어질 것이다. 결국 여권 후보대 보수연합세력, 그리고 DJ의 3파전이란 얘기인데 워낙 팽팽한 구도라 쉽게 점칠 수 없다. 하지만 이 구도하에서는 캐스팅 보트를 쥔 JP의 역할이 대단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홍윤오 기자>홍윤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