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대학이 교재 공동제작도/“교수확보·자료접근한계 문제”대학가에 통일관련 학과 및 강좌 신설 등 통일교육 붐이 일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북한의 극심한 식량난과 전 노동당 비서 황장엽씨의 망명 등 체제붕괴 조짐이 나타남에 따라 통일에 대비한 교육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화여대는 98학년도 1학기부터 대학원과정에 「통일과 북한여성에 대한 대학원협동연구과정」을 개설키로 하고 교육부에 강좌신설 승인을 요청했다.
이화여대는 남북통일시대에 대비, 북한여성들에게 시장경제 등에 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여성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평양에 분교를 설립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화여대는 이를 위해 「1백억원 통일여성교육기금」조성에 나서 현재 10억원을 모금했다.
연세대 통일연구원도 98학년도부터 통일관련 강의를 개설키로 했다. 통일연구원 문화연구부장 조혜정(사회학과) 교수는 『통일이 눈앞에 다가오는 조짐들이 나타나 감성적 운동차원이 아니라 실천학문으로서 통일교육이 필요하게 됐다』며 강의 개설이유를 밝혔다.
94년 북한학과를 신설한 동국대는 내년 첫 졸업생을 배출하며, 고려대는 올초 서창캠퍼스에 신설한 북한학과에서 30명의 학부생을 상대로 정치 경제 사회 법제도 통일정책론 등 북한 전반에 대한 기초를 가르치고 있다. 울산·아주·계명·전주·한남·호남·관동·경남대 등 8개 사립대로 구성된 「지역대학연합」도 올초 공동으로 「북한이해의 길라잡이」라는 교재를 제작, 교양강좌로 강의중이다. 이들 8개대는 2학기부터 통일관련 강좌를 더 신설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같은 통일강좌 신설붐에 대해 교수확보와 북한관련 자료 등의 접근보장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통일원 산하 민족통일연구원 이우영 박사는 『북한·통일문제를 강의하는 교수들의 전공이 사학 정치학 사회학 등으로 각각 달라 전공과 동떨어진 강의가 되거나 내용이 피상적으로 흐르고 있다』며 『특히 정치학 전공 학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져 교육이 정치나 체제문제에 치우치고 북한의 일상 생활차원은 경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박사는 또 『이같은 현재의 교육방식으로는 북한의 현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북한전문가를 양성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이진동 기자>이진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