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대표체제로 정국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와신상담하던 신한국당이 다시 대권경쟁 전초전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는 것같아 여간 안타깝지 않다.유력한 당내 경선주자인 박찬종, 이한동 두 고문이 15일 만나 자신들의 향후 진로와 관련, 야권의 김대중, 김종필 두 김씨와 회동의사를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판을 다시 짜보겠다는 건지, 그 배경을 당장 알길이 없다. 「이회창 독주」 제동시도로 보여지지만 예사로 넘길 사안은 분명 아닌 것같다.
가뜩이나 정국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집권당의 공동화현상은 국민을 더욱 불안속에 빠뜨릴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무엇 때문에 두 김씨를 만나야 하는지 사전에 명확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독불장군식의 처세로 종종 회자되던 박고문이 『이번에는 설사 경선에 지더라도 신한국당을 떠나지 않겠다』고 했던 말을 분명히 기억하고 있다. 또 이고문 역시 최근 권력집중으로 야기된 문제점을 지적해 마치 그가 내각제쪽으로 선회하고 있지않나 하는 인상을 풍겼다. 이고문의 발언시점도 이대표체제 출범 직후였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들의 행동이 대표결정 과정에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일단 이해하고 있다.
하기야 이들이 대표인선을 문제삼는데에도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청와대측이 그간 몇차례 손바닥 뒤집듯 말을 바꾸긴 했어도 대표만큼은 공정한 경선관리를 위해 「주자」는 안된다는 것이 일관된 기조였다. 물론 민주계 최형우 고문의 돌연한 와병 등 외생변수가 없었던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 원칙은 대체로 지켜지리라 믿었다. 그럼에도 김대통령이 당내 대표적 경선주자의 한사람인 이대표를 돌연 선택했다. 박고문이나 이고문의 반발은 충분히 예상됐다. 마치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된다는 식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김현철씨의 광범위한 국정개입의혹 등으로 김대통령 국정장악력이 치명적 손상을 입고있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들 두 고문의 「항명」은 엄청난 「악재」라고 아니할 수 없다. 여기에 최고문의 와병을 계기로 「거부감」과 함께 위기감을 느끼는 민주계가 가세할 경우, 신한국당내의 「난조」는 더욱 심해질 공산이 크다.
임기말의 심각한 권력누수는 공직자들의 기강을 크게 무너뜨린다. 이것은 우리가 이미 역사에서 체득한 경험칙이다. 급기야는 국가의 기강이 훼손될 우려마저 있다. 이미 시중에는 「공무원은 일손을 놓았고,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고 공직사회의 기강해이를 걱정하는 목소리들이 나돌고 있는 형편이다.
우리가 신한국당의 난기류를 걱정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임기말의 권력누수로 국정이 겉도는 일이 있어서는 결코 안된다. 국민들은 신한국당이 집권당으로서의 책임을 다 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