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계 중심축 “흔들” 최대 기로/영입파와 연대세분화 등 주목「최형우 쇼크」는 여권의 대선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우선 신한국당 민주계의 맏형격인 최형우 고문이 갑작스레 우환을 당한 것은 당내 최대계파의 중심축을 흔드는 결과를 낳았다. 민주계는 그동안 한보사태로 위축된 입지를 만회하기 위해 부심해왔다. 최고문을 대표로 옹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민주계 내부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얻어왔고, 실제로 최고문이 후임대표로 유력하게 거론된 것도 그같은 노력의 일환이었다. 최고문이 쓰러진 바로 그 자리에는 김덕룡 서석재 의원 등이 함께 있었다. 소위 민주계 3인방이 함께 모여 「민주계 재건」을 다짐하는 자리였다. 그러나 최고문의 예기치 못한 낙마로 인해 민주계의 선택이나 정치적 설계에 상당한 변화요인이 발생한 셈이다. 이는 「민주계 전진배치론」이나 「민주계 정권재창출론」을 약화시키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물론 최고문의 병세가 호전될 경우 얘기는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민주계는 내부전열을 재정비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문제는 민주계 중심의 여권 경선구도에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민주계 정권재창출론의 핵심은 영입파 인사와의 합종연횡이 근간이다. 또 일각에서는 민주계 단일후보론을 주장하기도 한다. 따라서 첫번째 관심은 김덕룡 의원과 이인제 경기지사 등 나머지 민주계 주자와 영입파간의 연대방향, 혹은 민주계의 독자출마 여부에 쏠리게 되어 있다. 이중 후자쪽은 현실성이 적다는 지적이 많은 만큼 이홍구 박찬종 이수성씨와 민주계 사이의 연합구도쪽에 이목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 둘째는 민주계의 입지약화가 이회창 고문에게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될 것인지 여부이다. 이고문은 박찬종 고문과 함께 대중적 인기를 인정받아 왔지만 민주계와 연합을 도모할 가능성은 박고문보다 낮게 인식돼왔다. 셋째는 민정계의 동향이다. 민주계의 세 위축은 상대적으로 민정계의 입지강화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십명의 소속의원들과 지지세를 구축하고 있는 김윤환 고문의 경우 다양한 상황변화를 염두에 두고 탄력적인 행보를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 넷째는 민주계의 새 구심점과 「김심」의 향배이다. 「최형우 쇼크」는 민주계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위기는 기회」란 말처럼 오히려 이번 일을 계기로 민주계의 결속이 강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최고문의 빈자리를 누가 메우냐는 문제와 이 과정에서 김영삼 대통령이 어떻게 입장을 정리할지가 관심거리다. 김덕룡·서석재 의원의 향후 역할이 어느때보다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정진석 기자>정진석>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