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을 진앙지로 한 지진이 연이틀 발생, 그렇지 않아도 불경기 등으로 심란한 국민들의 마음을 다시 한번 뒤흔들었다. 이번 지진은 78년 홍성지진 이후 가장 강력한 내륙지진으로 전국이 그 영향권에 들었다는 점에서 강진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 하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이번 지진으로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이 다시 확인됐다. 매년 지진빈도가 증가하고 그 강도도 더해 가고 있는 점에서도 이를 살필 수 있다. 92년 17회에 불과했던 지진발생 건수가 금년엔 벌써 35회를 기록하고 있다. 한반도가 지진활성기에 들어섰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동안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이같은 주장이 제기됐으나 당장 큰 피해가 없었다는 점에서 이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지진에 대해선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면서도 생활속에서 이에 대비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거나 아예 무시한 것이 우리의 실태다. 아파트의 내력벽 철거 등 구조변경이 좋은 예다.
우리나라도 86년 내진설계기준을 마련, 실시하고는 있다. 전국을 지진발생 위험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고 6층 이상의 건물 및 교량 등은 내진설계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이 우리 실태에 맞는 것인지 여부는 별개로 하더라도 당국부터 이를 지키지 않는 등 부실공사가 판을 치고 있다. 다리가 하루 아침에 내려앉고, 12년 밖에 안된 철교를 철거해야 하는 「부실」 속에서 지진에 대한 공포가 점점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점차 건물이나 구조물의 높이와 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내진설계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를 소홀히 했다가 강진이라도 덮치면 그 피해는 상상하기조차 두렵다. 당국도 교량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철저히 해 이의 정착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
내진설계 강화와 함께 지진에 대한 연구 및 경계태세 완비도 시급하다. 전문연구소 하나 없는 것이 우리 실정이다. 자원연구소가 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지진을 연구하는 것이 고작이다. 12개 기상관측소가 담당하고 있는 지진관측도 그 숫자나 질에서 뒤떨어지고, 그나마 경보태세는 거의 갖추지 못하고 있다.
연구태세를 충실히 갖추어 지진에 대한 자료 등을 철저히 분석, 우선 내진설계 기준부터 한반도 실정에 맞게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층지역이 많다. 그러나 이중 어느 것이 활성단층인지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진은 예보가 거의 불가능하다. 평소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만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길이다. 무엇보다 정부나 국민 모두가 지진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해 이에 대한 대비책을 생활속에서 살려나가야 한다. 역사상 큰 지진피해가 없었다고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